순창농요 금과들소리 ( 금과들소리)

국악
제도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에 전승돼온 농요로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있는 민요.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에 전승돼온 농요로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있는 민요.
개설

순창농요금과들소리는 벼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일련의 노래를 구성한 것으로, ‘물품고 모찌는 소리’, ‘모심는소리’, ‘김매기소리’, ‘장원질소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내용

순창농요금과들소리는 논매는소리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초벌매기(호미질) 때는 ‘문열가’를 부르고, 두벌매기(한벌) 때는 ‘연꽃타령’, ‘담담서름타령’, ‘오호타령’을 부르며, 세벌매기(군벌) 때는 ’방애타령’을, 마지막 논매기(만드레) 때는 ‘사호소리’를 부른다. 논매기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하는 장원질소리로는 ‘산아지타령’을 부른다.

순창농요금과들소리 중 「물품고 모찌는소리」를 제외한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모심는소리-상사소리」

(후렴) 여여허 여여허루 상사뒤여

모손을 갈라쥐고 거듬거듬 심어나 보세

이 농사를 잘 지어서 선영봉제사 하여나보세

앞산은 멀어지고 뒷산은 가까워지네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큼 남았네

지가 무슨 반달인가 초생달이 반달이지

「초벌매는소리」

오늘도 오늘도 심심허니 노래 하나를 불러보세

형제 형제 말을 타고 형제고개 넘어가네

일락서산 해 떨어지고 월출동산 달만 솟네

저 산 너네 소첩을 두고 밤질 걷기 난감도 허네

「두벌매는소리」

연꽃일에 연꽃일레 광주 경향에나 방죽에 연꽃일레

얼씨구나 정저리싸절씨구나 정저리싸 음 나니나 좋을씨고

활 잘 쏜다 활 잘 쏜다 전주 한량들이 활 잘 쏜다

얼씨구나 정저리싸 절씨구나 정저리싸 음 나니나 좋을씨고

베 잘 짠다 베 잘 짠다 남원 도그머리 큰애기 베 잘 짠다

얼씨구나 정저리싸 절씨구나 정저리싸 음 나니나 좋을씨고

(후렴) 아이고 담담 서름서름이야

오동동추야 달이 동동 밝고 임의 생각 절로 난다

노자 좋다 저 젊어 놀아 늙고 병들면 못 논단다

가면 가고 말면 말제 첩첩산중에 시집갈까

(후럼) 에야 오호 히이히히 에헤 엉어리싸 좋네

시금에 털털 개살구야 처녀 어허호 어허호

방에다야 넣어줄그나 허야

무단한 사람 오래다 놓고 문만 어허히 어허히

잠그고야 남의 간장을 녹인다야

「세벌매는소리」

(후렴) 에헤야 아하 어허헤루 어허헤루 방애야 허허헤루 놀세

에헤야 아하 어허헤루 어허헤루 방애야 허허헤루 놀세

이 방애가 누 방애냐 강태공의 조작일세

다 찧었네 다 찧어가네 보리방애를 다 찧었네

「만드레소리」

(후렴) 오헤헤라 상사뒤허 허뒤어

먼데 사람 듣기 좋고 옆에 사람 보기도 좋네

다 매었네 다 매어가네 이 논배미를 다 매었네

(후렴) 에헤라 사호

이쪽 베루는 저쪽을 보고

휘휘 둘러 쌈들 싸세

순창 원님은 곤달로쌈이요

임실 원님은 해우쌈이요

남원 원님은 천엽쌈이요

우리 농군은 상추쌈일세

바싹바싹 우겨주소

소쿠리장사 테 두르듯

망건장사 골 두르듯

에헤라 사호

「장원질소리」

(후렴) 에야뒤야 에헤에에야 에야뒤여라 산아지로구나

저 건네 갈미봉에 비 묻어온다 우장 삿갓을 둘러메고 집으로 가세

노자 좋아 젊어서 놀아 늙고 병들면 못 놀겄네

노다 가세 노다가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 가세

변천과 현황

순창농요금과들소리는 2002년 제43회 전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대통령상을 받았고, 2005년에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순창농요금과들소리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순창농요금과들소리는 농요권 구분에 있어서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호남 내륙산간분지(전남 곡성, 전북 순창, 임실 일부, 남원 일부지역)의 농요로서, 일부 논매는소리의 가창방식이 두 패로 나뉘어 번갈아 부르는 독특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순창군 지역은 논매기 벌수에 따라 부르는 노래가 정해져 있지 않고 모든 노래를 골고루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데, 순창농요금과들소리에서는 논매기 벌수에 따라 곡이 정해져 있어, 옛날에 실제로는 어떠했는지 정확하게 고증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문화체육관광부, 민속원, 2009)
순창농요 금과들소리 팜플렛
집필자
최상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