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 ()

사회구조
개념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계급은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이다. 계급을 경제적 자본의 관점에서 정의한 칼 마르크스와 막스 베버 등의 고전 이론과 함께, 문화 자본 등 불균등하게 배분된 권력 자원의 다차원성에 주목한 부르디외의 계급 개념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적으로 계급 구조와 의식, 계급 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세계화와 불평등의 심화로 인해 계급 내 분화와 그 함의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정의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
참고문헌

원전

Weber, Max,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Vol. 1(New York: Bedminster Press, 1968)
Marx, Karl and Frederick Engels, 『The Communist Manifesto』(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Co., [1848] 2014)

단행본

서관모,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과 계급분화』(서울 : 한울, 1984)
한상진, 『중민 이론의 탐색』(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91)
정진상·임영일·조효래·이진동·김영수·김재훈,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1987-2003』(파주 : 한울, 2006)
조돈문,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서울 : 후마니타스, 2011)
Wright, Erik Olin, Classes.(London: Verso, 1985)
Bourdieu, Pierre,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Cambridge, MA: Harvard Unviversity Press, [1979]1987)
Grusky, David B. ed., 『Social Stratification: Class, Race, and Gender in Sociological Perspective』(Boulder, San Fransisco, Oxford: Westview Press., 1994)
Koo Hagen, 『Korean Workers: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lass Formation』(Ithaca: Cornell Unviesity Press, 2001)
Standing, Guy, 『The Precariart: The New Dangerous Class』(New York: Bloomsbury, 2011)
Pikety, Thoma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논문

신광영, 「2000년대 계급/계층 연구의 현황과 과제」(『경제와 사회』 100, 비판사회학회, 2013)
홍덕률, 「한국대자본가의 조직화와 계급실천에 대한 연구」(『한국사회학』 28, 한국사회학회, 1994)
Goldthorpe, John H, 「Social Class and the Differentiation of Employment Contracts」(『On Sociolog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Lee, Joohee, 「Class Strucgure and Class Consciousness in South Korea」(『Journal of Contemporary Asia』 27:2, Routledge,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