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백선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문인 김석주가 100편의 중국 고문을 모아 수록한 고문 선집.
이칭
이칭
고문선(古文選), 고문(古文), 고문션
문헌/고서
편찬 시기
숙종 대
편자
김석주(金錫胄)
권책수
7권 3책, 10권 10책
판본
목판본, 금속활자본, 필사본
표제
古文百選, 고문션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일본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문백선』은 조선 후기 문인 김석주가 중국 고문을 모아 수록한 고문 선집이다. 선진(先秦) 시대부터 당송(唐宋) 시대까지의 명문장(名文章) 백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한문으로 기록된 책으로, 목판본과 금속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는데, 한문을 언해한 한글 필사본도 제작되었다. 당시에는 당송 고문에 치중된 고문 선집이 일반적이었다면, 이 책은 선진 고문의 수록 비중을 대폭 늘려서 수록한 점이 특징이다. 숙종 대 이후 문인들의 고문 학습 현황을 알려 주는 자료이자, 중세 한글 변천사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정의
조선 후기 문인 김석주가 100편의 중국 고문을 모아 수록한 고문 선집.
서지 사항

7권 3책의 한문 목판본 및 한문 금속 활자본, 10권 10책의 한글 필사본이 있다. 한문 금속 활자본은 무신자본(戊申字本)과 한구자본(韓構字本)이 있고, 한문 목판본은 이를 번각(飜刻)한 것이다. 또한 한글 필사본은 한문본을 언해한 것이다. 한문 목판본 및 금속 활자본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일본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한글 필사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고문백선』은 김석주(金錫胄)가 중국의 선진(先秦) 시대부터 당송(唐宋) 시대까지의 명문장(名文章) 100여 편을 뽑아 놓은 고문 선집(古文選集)이다.

김석주가 지은 「고문백선서(古文百選序)」( 『식암유고(息庵遺稿)』 권8)에 따르면, 이 선집은 과거 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작문(作文) 교과서로 편찬된 것이었는데, 그 이후로는 과거 시험뿐만 아니라 초학자(初學者)들의 문장 학습을 위한 교과서로 더 널리 읽혔다.

『고문백선』은 본래 한문으로 기록된 책으로 목판본과 금속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는데, 한문을 언해한 한글 필사본도 제작되었다. 다만 한문본과 한글본의 편집 체재는 차이를 보인다. 7권 3책의 한문본은 1책에 상편 1-2(권1-2), 2책에 상편 3(권3)과 중편 1(권4), 3책에 중편 2-3(권5-6)과 하편(권7)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편 10권 10책의 한글본은 한문본과 마찬가지로 크게 상편(권1-5), 중편(권6-9), 하편(권10)으로 구분되고 1권이 1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한글본에는 한문본과는 달리 김석주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고문백선』의 상편과 중편은 시대에 따라 선진 시대, 당대(唐代), 송대(宋代) 순으로 작품을 배치하여 구분하였다. 즉 상편에도 선진 시대부터 송대까지, 중편에도 선진 시대부터 송대까지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다만 하편의 경우는 따로 구분 없이 모든 작품들을 한꺼번에 수록해 둔 점이 상편 및 중편과 다르다. 각 편의 맨 처음과 마지막에 수록된 작가와 작품 제목은 다음과 같다.

한문본 『고문백선』의 경우, 상편 1은 연(燕)나라 악의(樂毅)의 「보연혜왕서(報燕惠王書)」부터 후한(後漢) 공융(孔融)의 「여조공론성효장서(與曹公論盛孝章書)」까지, 상편 2는 당(唐)나라 한유(韓愈)의 「논불골표(論佛骨表)」부터 당나라 유종원(柳宗元)의 「포사자설(捕蛇者說)」까지, 상편 3은 송(宋)나라 왕우칭(王禹偁)의 「대루원기(待漏院記)」부터 송나라 장뢰(張耒)의 「답이추관서(答李推官書)」까지, 중편 1은 한(漢)나라 가의(賈誼)의 「치안책(治安策)」부터 한나라 양웅(揚雄)의 「간불수선우조서(諫不受單于朝書)」까지, 중편 2는 당나라 한유의 「평회서비(平淮西碑)」부터 당나라 유종원의 「봉건론(封建論)」까지, 중편 3은 송나라 구양수(歐陽修)의 「상범사간서(上范司諫書)」부터 송나라 호전(胡銓)의 「상고종봉사(上高宗封事)」까지, 하편은 초(楚)나라 굴원(屈原)의 「어부(漁父)」부터 송나라 정이(程頤)의 「명도선생묘표(明道先生墓表)」까지 수록되어 있다.

『고문백선』에 작품을 수록할 때에는 작품 본문만을 수록하는 것이 이 책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적용된 원칙이다. 그러나 하편 끝부분에 수록된 장재(張載)의 「서명(西銘)」 한 편에 대해서만은 큰 주석 아래에 더 자세한 주석을 달아 두었다. 또한 본문 말미에는 미비(眉批)를 수록하여 해당 작품의 이해를 돕는 경우도 있다. 그 내용은 대체로 누방(樓昉)의 『숭고문결(崇古文訣)』, 진덕수(陳德秀)의 『문장정종(文章正宗)』, 당순지(唐順之)의 『문편(文編)』, 모곤(茅坤)의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鈔)』 등 중국의 문장 선집에 실린 논평을 인용한 것이 많고, 간혹 김석주 자신의 것으로 보이는 논평이 등장하기도 한다.

『고문백선』의 서문에서 김석주는 고문을 초선(抄選)하여 학습하는 효과를 군사에서 용병을 잘하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정예로운 병사를 적은 수효로 선발하여 전장에 나서면 기이한 전적을 낼 수 있듯이, 고문 학습도 많이 읽는 것보다 적은 수효의 작품을 정화롭게 뽑아 읽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측면은 박지원(朴趾源)이 「소단적치인(騷壇赤幟引)」에서 사용하였던 비유 방식과 소통되는 것으로 흥미 있는 논리 전개이다.

김석주는 종래에 유행하고 있던 『 고문진보(古文眞寶)』나 『문장궤범』이 사(辭)나 부(賦)를 섞어 뽑았고, 또한 작가들도 주로 당 · 송 시대에 치우쳐 있는 점을 결점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는 문체에 있어서는 보다 순수한 고문 문체를, 시대에 있어서는 진한(秦漢)으로부터 남송(南宋)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뽑아 완벽을 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래서 김석주는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작품을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것들을 고문 문체의 전범으로 수용하였다. 다시 말해, 당시 일반적으로 널리 읽혔던 문장 학습 교본들이 당송 고문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학습의 균형이 맞지 않았던 데 반해, 이 책은 선진 고문의 수록 비중을 대폭 늘려서 독자들이 시대에 구애 받지 않고 모범이 되는 작품을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의의

『고문백선』은 숙종 대 이후 고문 학습의 현황을 알려 주는 자료이자 중세 한글 변천사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서 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문진보(古文眞寶)』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문장궤범(文章軌範)』
『문장정종(文章正宗)』
『문편(文編)』
『숭고문결(崇古文訣)』
『식암유고(息庵遺稿)』
『전상고삼대진한삼국육조문(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엄가균(嚴可均) 교집)

논문

김광년, 「息庵 金錫胄 散文 硏究」(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인터넷 자료

한국학자료포털(http://ksstma.aks.ac.kr)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