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실기 ()

목차
관련 정보
고산실기 / 시
고산실기 / 시
유교
문헌
고려 후기의 문신 · 학자, 공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 학자, 공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판본. 1918년 그의 후손 희(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병관(李炳觀)·윤영구(尹寗求)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영직(姜永直)·송영구(宋榮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수, 부록으로 시 5수와 실적(實蹟)·행장·묘갈명·수비문(豎碑文)·기·통문(通文)·봉안문, 권2 부록으로 찬(贊) 185편, 술(述) 24편, 영(詠) 66수, 지(識) 1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 공은의 시 3편은 모두가 고려가 망하였음을 한탄하는 내용이다. 부록에는 이색(李穡)의 시를 비롯하여 고려 말의 명사 9명이 차운(次韻)한 시가 있어 그 당시 시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실적」에는 그가 조선 태종의 부름을 거절하였다는 이유로 전라도 순천(順天)에 유배되었다가 결국 적소에서 죽었는데, 그 무렵 기러기 한마리가 3일간 슬피 울다가 그가 죽으니 덩달아 물에 떨어져 죽었다는 데서 그 지명을 ‘삼일포(三日浦)’ 또는 ‘비락주(飛落洲)’라고 한다는 유래가 소개되어 있다.

이밖에 그를 경현사(景賢祠)와 두문서원(杜門書院) 등에 배향하였다는 사실들을 기록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혁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