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신관리 석실 고분 ( )

목차
관련 정보
공주 신관리 석실고분
공주 신관리 석실고분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돌방무덤. 석실분.
이칭
이칭
공주시목동고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공주신관리석실고분(公州新官里石室古墳)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적석묘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기념물(1976년 01월 08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산 14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돌방무덤. 석실분.
내용

1966년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 의하여 발굴되었으며 1976년 1월 8일에 충청남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공주의 금강 북안에 위치한 신관동 마을의 뒷산 언덕에 위치하며, ‘시목동(枾木洞)고분’이라고도 불린다. 제1호분과 제2호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백제시대의 전형적인 돌방무덤[石室墳]이다. 도굴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부장품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1호분과 2호분의 구조 양식과 규모는 거의 비슷한데, 널방[玄室]은 여러 장의 큰 판돌을 사용하였고, 널길[羨道]은 남쪽 가운데에 있다. 이들 2기의 고분은 소위 맞배천장형 고분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여러 개의 대판석(大板石)을 사용하여 널방의 횡단면이 5각형이 되게 꾸미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이곳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판석은 화강암으로 잘 다듬어진 것으로서 유명하다.

1호분과 2호분은 그 형식이 거의 동일한데 이 가운데서 1호분은 길이 2.73m, 너비 1.25m, 높이 1.5m 되게 판석으로 널방을 꾸몄다. 이를 위해 벽면은 동쪽에 2매, 서쪽에 3매의 화강암 대판석을 세우고, 북벽에는 위가 뾰족한 5각형인 1매의 대판석으로 막고 있는데, 천장은 4매의 판석을 조립하여 맞배형으로 꾸미고 있다. 그러므로 천장의 동서 양면이 윗부분에서 내경하여 합하여지도록 하였다. 널길[羨道]은 널방의 남벽에 설치하고 있는데 널길의 동서쪽에 각기 대판석 1매를 세워 벽면석을 이루게 한 후, 천장을 1매의 판석으로 꾸미고 있다. 아울러 널길과 남벽 간에는 문틀이 시설되고 있다. 그리고 이 문틀의 외부에서 널방을 막는 문비석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신관리석실고분은 동일 형식으로 구릉상에 남∼북 방향으로 서로 가까이 2기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중 북쪽에 있는 1호분은 거의 원상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2호분은 파괴가 심하고 매몰되어 있어 지표에서의 확인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 고분은 백제 사비기의 전형적인 돌방인 능산리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교촌리 46호분과 함께 공주에서만 확인되고 있어 당시 무덤 축조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지역의 문화유적』(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9)
『백제고분연구』(강인구, 일지사, 1977)
「백제고분의 연구」(안승주, 『백제문화』2, 공주사범대학백제문화연구소, 1968)
「공주시목동고분조사약보」(안승주, 『고고미술』8-1, 196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