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웅진동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공주 웅진동 고분 출토 옹관
공주 웅진동 고분 출토 옹관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독무덤 · 궁륭상천장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목차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독무덤 · 궁륭상천장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박산소(朴山所)마을 앞 산기슭에서 1979년 조폐지공장(造幣紙工場) 건설공사 중 발견되었다. 발굴조사는 6월 18일∼8월 23일에 걸쳐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 의해 조사되었다. 조사된 고분의 대부분은 백제시대 고분(21기)이고 이 외에 통일신라(1기)·고려시대(2기)·조선시대(5기) 무덤들도 포함되어 있다.

백제시대의 것은 한결같이 구릉의 남쪽 경사면에 있는 데 비해, 고려·조선 시대 분묘는 구릉의 능선상에 있는 점이 주목된다.

주류를 이루는 백제고분은 독무덤 3기를 제외하고 대부분 궁륭상천장(穹窿狀天障)을 한 돌방무덤이다. 궁륭상천장 돌방무덤들은 거의 동일한 구조양식으로, 널방[玄室]은 거의 방형에 가깝고, 널길[羨道]은 13기 모두 동쪽 벽에 나있으며, 대부분 완전한 배수시설을 갖추고 있다.

독무덤 3기 중 제1호분은 석곽 안에 3개의 독널이 직립되어 있고, 제9호분은 독널 하나를 뉘어 놓았으며, 제10호분은 작은 독널 두 개를 맞댄 이음식[合口式]으로 되어 있어 3기 모두 구조양식을 달리하고 있다. 독널의 형태는 난형과 구형에 꼰무늬[繩文]·문살무늬[格文]가 나타난 제1호분이 선행형식이고, 넓은 어깨에 가는 꼰무늬가 든 제9호분이 후행형식으로 보인다.

궁륭상천장돌방무덤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제8호분에서 금동제 귀고리 3점, 은제 팔찌 1점, 토기 1점과, 제17호분에서 수정장신구 2점, 금동제 귀고리 5점, 그리고 제28호분에서 토기 2점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웅진동고분들은 규모나 출토유물로 볼 때, 피장자(被葬者)들의 신분이 귀족층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기의 기형과 문양 등으로 보아 궁륭상천장돌방무덤의 축조연대는 6세기 중엽 이전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궁륭상천장돌방무덤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으나, 형태·축조방법이 같아 오랜 기간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공주웅진동고분군(公州熊津洞古墳群)」(안승주, 『백제문화(百濟文化)』14, 198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