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좌참찬, 우찬성, 문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의(仲義), 중안(仲安)
지재(止齋)
시호
문경(文景)
이칭
권도(權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87년(우왕 13)
사망 연도
1445년(세종 27)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좌참찬|우찬성|문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좌참찬, 우찬성, 문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도(權蹈), 자는 중의(仲義) ·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이고, 아버지는 찬성 권근(權近)이며, 어머니는 우정언 이존오(李存吾)의 딸이다. 부인은 판사(判事) 이휴(李携)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처음에 음보(蔭補)로 경승부주부(敬承府注簿)에 기용되었으나 감찰 때 대사헌의 비위에 거슬려 파면되었다. 1414년(태종 14) 친시 문과에 장원으로 주2해 우헌납(右獻納)이 된 뒤 병조정랑과 예문관응교(藝文館應敎)를 거쳐, 1416년 사예(司藝), 1418년에 사인(舍人)을 지냈다.

1419년(세종 1) 집의(執義)가 되었으며, 사은사 경녕군(敬寧君)이비(李礻+非: 태종의 제1서자)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승정원동부대언(承政院同副代言)과 좌대언(左代言)을 차례로 지냈다.

1423년 집현전부제학이 된 뒤 예조판서 · 대사헌 · 함길도도관찰사를 지내고, 이듬해에는 평안도도관찰사가 되었다. 1430년 경창부윤(慶昌府尹), 1432년 경기도관찰사, 이듬해 예조참판에 임명되었으며, 1435년 이조판서, 1437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계품사(計稟使) 혜령군(惠寧君)의 부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예문관대제학이 되었고, 그해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임명되었다. 1439년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가 되었으며, 1442년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를 겸해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인 신개(申槩)와 함께 『고려사』를 주3

1443년 좌참찬으로 판이조사(判吏曹事)가 되었고, 1444년 의금부제조(義禁府提調), 이듬해에는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鄭麟趾) · 안지(安止)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다. 오랫동안 문형(文衡: 대제학의 다른 이름)을 역임했으며, 작품으로 「세년가(世年歌)」가 있다. 시호는 주4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백헌집(白軒集)』
『해동잡록(海東雜錄)』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一(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一(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고려사 편찬 : 『세종실록』 97권, 1442년(세종 24) 8월 12일. "신개·권제 등이 찬술한 《고려사》를 올리다"

주4

시호 문경 추증 : 『세종실록』 108권, 1445년(세종 27) 4월 16일. "의정부 우찬성 권제의 졸기"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