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주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정면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정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전공판서, 지신사, 밀직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 서예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94년(태조 3)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전공판서|지신사|밀직제학
관련 사건
공민왕시해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전공판서, 지신사, 밀직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 서예가.
개설

호는 주1 본관은 안동(安東). 할아버지는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 아버지는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 어머니는 찬성사 조련(趙蓮)의 딸이며, 부인은 첨의평리(僉議評理) 정빈(鄭頻)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성품이 바르고 성실하였으며 일찍이 등제하여 충주목사 · 황주목사를 역임하였는데, 백성들을 잘 다스려 칭송을 받았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공민왕이 남천할 때, 전법총랑(典法摠郎)으로서 왕을 호종한 공으로 1363년 신축호종이등공신(辛丑扈從二等功臣)에 서훈되었다.

1374년에는 홍륜(洪倫) · 최만생(崔萬生)과 더불어 조카 권진(權瑨)이 공민왕을 살해하자 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1386년(우왕 12) 전공판서(典工判書) · 전법총랑(典法摠郞) · 삼사우윤(三司右尹)으로 있을 때에 자신의 집을 수리하여 왕의 총비 숙녕옹주(肅寧翁主)의 궁으로 제공하여 시좌소(時座所: 일시적으로 왕이 거주하는 곳)로 삼으니 백관들의 정사가 이 곳에서 주2

1389년(창왕 1) 지신사(知申事)가 되어 과거시험을 관장하였고 이어 밀직제학(密直提學)에 올랐다. 유필로는 여주 신륵사의 「신륵사대장각기(神勒寺大藏閣記)」, 묘향산 안심사(安心寺)의 「지공나옹사리석종비(指空懶翁舍利石鐘碑)」, 고양시 태고사(太古寺)의 「원증국사탑비(圓證國師塔碑)」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문선(東文選)』
『백씨통보(百氏通譜)』
『삼봉집』
주석
주1

호 규헌 : 『삼봉집』 제1권, 칠언고시(七言古詩). "제공의 시에 차운하다[次諸公韻]"(한국고전종합DB)

주2

전공판서시 행적 : 『고려사』 권136, 世家, 1386년(우왕 12) 1월. "권주의 집을 수리해 숙녕옹주에게 주다"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