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도 ()

목차
교통
제도
조선시대 황해도 평산(平山)의 기린역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황해도 평산(平山)의 기린역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내용

중심역은 역승이 소재하였으나 뒤에 찰방으로 승격되었다.

관할범위는 기린역-재령(載寧)-안악(安岳)-장련(長連), 재령-신천(信川)-문화(文化)-은율(殷栗)-풍천(豐川) 등에 이어지는 역로와 기린-서흥(瑞興)-수안(遂安), 서흥-신계(新溪)-곡산(谷山)에 이어지는 역로이다.

이에 속하는 역은 다만(茶滿, 達滿), 신천의 원산(元山), 문화의 연양(延陽), 안악의 진목(眞木), 장련의 박산(朴山), 은율의 문라(文羅), 풍천의 안산(安山), 수안의 위라(位羅), 곡산의 소관(所串), 신계의 소평(所坪), 서흥의 신흥(新興) 등 11개역이다.

기린도 소관역은 모두 소로(小路) 또는 소역(小驛)에 속하는 역이었다. 이 역도는 1895년(고종 32) 갑오경장 이듬해까지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경국대전』
『대전회통』
『대동지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