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본말체는 역사를 기록할 때 사건의 명칭을 제목으로 내걸고, 그와 관련된 기사를 모아 서술하여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드러내는 역사 편찬 체재이다. 남송 때 원추(袁樞)가 『자치통감(資治通鑑)』의 기사를 개편한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편찬한 데서 시작되었다. 이후 명 · 청 시대에 이 체재를 기반으로 많은 사서(史書)가 편찬되었고, 송나라 이후 각 왕조의 역사에도 적용되어 금나라에 이르기까지 아홉 왕조의 기사본말체 사서가 편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 이긍익이 편찬한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이 대표적이다.
이 체재는 동양에서 가장 후대에 생긴 체재이자 가장 발전된 역사 편찬 체재이다. 기왕의 역사 편찬 체재인 기전체와 편년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정치적인 사건을 기술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역사 편찬 체제라고 할 수 있다. 기전체는 하나의 사건에 관한 자료가 본기(本紀) · 열전(列傳) · 지(志) 등에, 그리고 지 중에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지에 분산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사건의 전모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편년체는 역사 기록을 연월일 순으로 정리하여 동일 사건의 자료가 함께 기록되지 못하고 다른 기록이 중간에 끼어드는 단점이 있다. 기사본말체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창안되었으며, 역사에서 사건의 전말을 알고자 하는 새로운 역사 의식의 소산이다.
우리나라에서 기사본말체로 편찬된 사서로는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서문중(徐文重)의 『 조야기문(朝野記聞)』, 찬자 미상의 『 조야집요(朝野輯要)』, 이원순(李源順)의 『 화해휘편(華海彙編)』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연려실기술』은 본집 · 속집 · 별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사본말체로 쓰인 것은 본집과 속집이다. 별집은 상고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문물 · 전장(典章)에 관한 기록으로서 기전체의 지와 같은 성격을 견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