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일분수 ()

목차
유교
개념
조선후기 학자 임성주가 이이의 이일분수설이 이기불상리 철학에서 벗어난다고 보고 현상계를 기의 분화로 설명한 성리학이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임성주가 이이의 이일분수설이 이기불상리 철학에서 벗어난다고 보고 현상계를 기의 분화로 설명한 성리학이론.
내용

이일분수는 송대(宋代)에 정이(程頤)가 창출한 것으로 이일(理一)이란 본체로서의 태극(太極)을 말하고, 분수(分殊)란 현상계에 존재하는 각각의 사물(事物)마다에 깃들어 있는 이(理)를 뜻한다.

이이의 이일분수에서 이일의 이는 본디 차별이 없는 것이나, 분수의 이는 천차만별하여 가지런하지 못하다. 그런데 그것은 이가 본래 그런 것이 아니라 이가 타는 바의 기(氣)가 가지런하지 못하고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현상계에 존재하는 다양성은 기의 작용과 변화 때문이고 그 변화는 이의 주재(主宰) 때문에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이일분수설은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과 함께 이이의 이기론의 핵심이다.

이에 반해 임성주는 이이의 이일분수나 이통기국은 결국 이동기이(理同氣異)의 설로 되기 때문에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의 철학에서 벗어나게 된다고 생각해서 기일분수설을 제창한다.

그는 이 현상계에 존재하는 것은 모두 기의 작용이며, 이는 별도로 기보다 앞서 존재하는 최고의 존재원리가 아니라 기의 분화(分化)에 따라 생기는 것으로, 기에 내재하는 법칙 조리(條理)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한마디로 이와 기는 동시공재성(同時共在性)이다.

따라서 그는 이이의 주장처럼 이일분수나 이통기국을 말해 이(理)는 보편적인 것으로 통(通)하는 것이고, 기(氣)는 특수한 사실의 것으로 국한되는 것이라고 본다면, 이와 기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통일체(統一體)라는 점에서 모순을 일으킨다고 생각했다.

이와 기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통일체인 한 이가 보편적으로 통하는 것이라면 기도 통하는 것이며, 기가 국한된 것이라면 이도 당연히 국한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기불상리의 입장에서 보면, 이일분수란 것도 이를 주로 하는 측면에서 보았기 때문에 이일분수인 것이고, 기를 주로 하는 측면에서 보면 기일분수라 해도 틀릴 것은 없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임성주에게 이일분수의 이일은 곧 기일의 자기법칙이며, 분수지리(分殊之理), 곧 구체적인 다양한 사물의 이는 그대로 사물자체의 자기법칙임을 뜻한다.

여기서 기일의 기는 담일청허(湛一淸虛 : 한결같이 맑고 깨끗함)한 기로 태허(太虛)·태화(太和)·원기(元氣)로 불리며 본원적 실체이다. 이 본원적 실체인 일기(一氣)가 자체의 생의(生意)에 의해 어느 것의 힘에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작용, 변화하여 다양한 현상계를 형성하는데, 그것이 분수의 기이다. 결국, 임성주에게 기일분수란 기일원론의 또다른 표현이며, 이기불상리의 철학이 강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녹문집(鹿門集)』(임성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