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935년 증손 재용(在容)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송태헌(宋台憲)·송규헌(宋奎憲)의 서문과 권말에 재용의 발문을 실었다.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미국 UC버클리대학교 도서관(UC Berkeley Library)에 있다.
권1은 시, 권2는 서(書), 권3은 잡저·서(序)·기·발·혼서·상량문·축사·제문·애사, 권4는 행장, 끝에 부록으로 만사·애사·행장·묘지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오언고시·오언절구·오언율시·칠언절구·칠언율시의 순으로 배열되었는데, 특이한 습관이 없이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다. 「십내음(十耐吟)」은 내기(耐饑)·내갈(耐渴)·내한(耐寒)·내서(耐暑)·내번(耐煩)·내로(耐勞)·내병(耐病)·내비(耐悲)·내방(耐謗)·내노(耐怒) 등을 읊은 것으로, 인내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화양십절(華陽十絶)」은 괴산 화양동(華陽洞)의 송시열(宋時烈)을 모시던 화양서원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의 절경을 읊은 것으로, 화양동·경천벽(擎天壁)·운영담(雲影潭)·읍궁암(泣弓巖)·금사담(金沙潭)·첨성대(瞻星臺)·능운대(凌雲臺)·와룡암(臥龍巖)·학소대(鶴巢臺)·파곶(巴串) 등을 잘 묘사한 작품이다.
서(書)에는 이원룡(李源龍)·민영목(閔泳穆)·김석원(金奭源)·이교인(李敎寅)·황종림(黃鍾林)·유득용(柳得鏞)·한응순(韓應淳)·윤종의(尹宗儀)·이원만(李源萬)·김조연(金肇淵) 등과 주고받은 서한으로 대부분 학문에 관한 내용이다.
잡저는 그의 사위이자 문인인 이석겸(李碩謙)에게 준 「증언(贈言)」인데, 학문을 하는 방법과 실천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는 격언을 밝혀준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