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주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노주선생문집
노주선생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태일의 시 · 소 · 기 · 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태일의 시 · 소 · 기 · 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5권 3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대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부(賦) 2편, 시 365수, 권3은 소 8편, 서(書) 2편, 서(序) 1편, 기 9편, 발 3편, 명 1편, 축문 3편, 제문 12편, 잡저 2편, 권4는 상량문 2편, 묘갈명 3편, 묘지명 4편, 행장 7편, 권5는 부록으로 저자의 조카인 이만(履萬)이 쓴 행장, 이서우(李瑞雨)·이광정(李光庭)이 쓴 묘갈명, 만사·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집의 상소 중에는 이황(李滉)을 모신 영양(英陽) 영산서원(英山書院)에 사액을 청하는 상소와, 사림을 대표하여 임진왜란 때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절사한 조종도(趙宗道)의 시호를 청하는 상소가 있다. 또, 이황의 문인인 황준량(黃俊良)을 풍기(豐基)·신녕(新寧) 두 서원에 이황과 같이 배향해줄 것을 변무(辨誣)하는 내용도 있다.

서찰문 중 허목(許穆)에게 준 글은 『존요록(尊堯錄)』은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인 유원지(柳元之)의 편저이니, 한 번 열람해보라는 내용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