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50m. 1976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마애불은 고정산(高井山)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10여m에 달하는 거대한 바위의 남벽에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되어 있다.
이 곳은 원래 영사암(永思庵)이 있었던 곳으로 최근까지도 마애불의 앞쪽으로 법당이 있었다고 한다. 불상의 얼굴은 넓적한 사각형이지만, 친근감 넘치는 소박한 모습이다.
소발(素髮)의 머리에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높이 솟아 있다. 미간에는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의 흔적이 남아 있다.
눈은 반타원형으로 길게 반개하였으며 안면 중앙의 코가 넓적하고 입은 얼굴에 비해 매우 작은 편이다. 기름한 귀가 어깨까지 길게 늘어지고 어깨와 거의 맞붙은 비대한 목에는 삼도(三道)가 가늘게 음각되었다. 친밀하면서도 다소 서투른 조각 수준을 그대로 드러내는 부처의 얼굴은 선각에 가깝게 얕게 조각된 오밀조밀한 이목구비의 표현을 보여 준다.
두 손은 앞가슴에서 모아 마주 잡은 모습을 하고 있다. 어깨가 유달리 좁고 일직선에 가까운 체구를 이루고 있다. 착의 형식은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암면이 고르지 못하고 군데군데 탈락되어 명확하지는 않다.
전체적으로 경직된 옷주름 선을 보여 준다. 옷자락의 흐름으로 보아 입상으로 생각되며, 목덜미에서부터 V자형 옷주름이 잔잔하게 흘러내리고 있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보주형(寶舟形)의 두 · 신광(頭 · 身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 · 몸에서 나오는 빛)으로 구성되어 있다.
꼭대기의 치졸한 3구의 화불(化佛)로 두광을 대신하였다. 신광 또한 가는 음각선으로 불꽃무늬를 빼곡하게 새겼는데 몸통과 마찬가지로 조각 기법이 둔중하고도 어색하다. 불상의 조성 연대는 다소 세련미가 떨어지는 조각 수법과 간략화된 착의 형태, 토속적인 안면 표현에서 고려 중엽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