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재집 ()

목차
관련 정보
농재집
농재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오빈의 시 · 서(書) · 제문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오빈의 시 · 서(書) · 제문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오구상(吳龜常)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장서각에 있다.

권1은 시·서(書)·전(箋), 권2는 부록으로 시장(諡狀)·묘갈명·묘지명·치제문(致祭文)·제문·만사·연보 등이 실려 있다.

시는 모두 154수로 본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치원(崔致遠)·송시열(宋時烈)의 시를 차운(次韻)한 것이 많으며, 적소(謫所)에서 읊은 처절한 시가 군데군데 들어 있다.

문장이 온아하고 담박하여 조금도 수식한 것이 없으며, 안응창(安應昌)·채충원(蔡忠元)·심노직(沈魯直)·이민화(李敏華)·이지형(李枝馨)·조형(趙珩)·강백년(姜柏年)·이제현(李齊賢)·이유형(李惟亨)·윤경(尹坰)·김수창(金壽昌)·정한기(鄭漢驥)·김인량(金寅亮)·권두흥(權斗興)·김종필(金宗弼)·이홍연(李弘淵)·백홍일(白弘一) 등 당시 유명인사에 대한 만사가 들어 있다.

서는 오두인(吳斗寅)에게 준 서한으로 모두 4편인데, 시사(時事)에 관한 것이다. 부록의 제문은 이상진(李尙眞)·정박(鄭樸), 만사는 송시열·김수흥(金壽興)·민정중(閔鼎重)·김수항(金壽恒)·남용익(南龍翼)·정지화(鄭知和)·이민우(李敏雨)·이숙(李䎘)·이사명(李師命)·박세채(朴世采)·조상우(趙相愚)·김만채(金萬埰)·정재희(鄭載禧) 등 당시 교분이 있는 인사들에 대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