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와문고 ()

목차
관련 정보
이창술의 눌와문고 중 권수면
이창술의 눌와문고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창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창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0년 이병규(李炳奎)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전우(田愚)의 서문과 이경로(李敬魯)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명(銘), 권2·3에 서(書)·기(記)·서(序)·지(誌)·제문·축문·상량문·통문(通文)·가장(家狀)·설(說), 권4는 부록으로 저자에 관한 발(跋)·기·서(序)·시·행장 등이 실려 있다.

시 중 「자은동삼십육경(自隱洞三十六景)」은 채석제월(采石霽月)·적벽청풍(赤壁淸風)·명사관사(明沙觀射) 등 그가 살던 전라남도 영광 자은동의 36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서(書)에는 스승인 성근묵(成近默)과 주고받은 서한 6편이 들어 있는데, 모두 학문에 관한 문답이며, 이양연(李亮淵)과 주고받은 서한은 별지와 아울러 예설(禮說)을 논한 장편의 문답이다.

「천군지(天君誌)」는 가전체(假傳體)의 작품으로 임금이 천하를 다스리는 대경대법을 논한 것이다. 제목에서 말하는 천군(天君)의 성은 성(性), 이름은 이(理), 선조는 무극옹(無極翁)으로 태초(太初) 원년에 영대(靈臺) 위에서 등극하여 국호를 명(明)이라 하고 화덕(火德)으로 왕노릇하면서 백성을 교화하였다는 내용을 주제로 한 것이다.

「향약통문(鄕約通文)」은 착한 것을 권하고 악한 것을 징계하며, 어렵고 구차할 때 서로 구제함을 목적으로 향촌의 자치규약을 마련, 향약정(鄕約正)·부약정(副約正)·직월(直月) 등의 임원을 구성하고 향풍(鄕風)을 바로잡자는 내용이다.

설의 「심의문답설(深衣問答說)」에서는 심의(深衣)를 입는 원리와 유래 및 재단과정의 척수(尺數) 등을 문답식으로 상세하고도 간명하게 해설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