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

목차
국악
작품
조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 중 열번째 곡으로 제9변(第九變).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 중 열번째 곡으로 제9변(第九變).
내용

노랫말은 5언 12구의 한시로, 조종(祖宗)이 대대로 문덕(文德)이 있어, 예악(禮樂)의 제작이 갖추어지고, 태평이 융성하게 열렸다는 것을 노래한 것이다.

임종궁(林鐘宮) 평조(平調)의 5음 음계이다. 노랫말 한 구가 5언으로 되어 있는 곡에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소무(昭武)」와 보태평지악의 「희문(熙文)」·「승강(承康)」·「대동」이 있다.

그런데 이 곡들은 노랫말 한 구가 5언일 뿐 아니라, 박(拍) 또한 가사 한 구마다 한 번씩 악보로는 2행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 곡들은 모두 박 둘이 모여서 한 장단을 이루는 같은 장구형을 가지고 있으며, 곡의 시작이 제3대강인 점에서 모두 같다.

또한, 노랫말 한 구 끝에는 고(鼓)의 3연타(連打)에 수반하는 동일음의 6회 반복과 같은 리듬을 그 원점(原點)으로 하고, 그 밖의 음을 간점(間點)이라고 하면, 「대동」은 14회의 간점이 있어, 「희문」은 물론 「승강」보다도 더 많은 간점을 쓰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악보는 『세종실록』악보에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악보(世宗實錄樂譜)』
「종묘제례악의 음악적고찰」(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