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가정학회 ()

목차
관련 정보
대한가정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주생활
단체
생활과학 연구를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생활과학 연구를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내용

식품영양, 의료직물(衣料織物), 가정관리, 아동 및 가족, 소비자, 주택관리, 가정교육 등 인간과 생활자원 및 대(對) 사회성을 연구하는 실용학문으로서의 생활과학의 발전과 나아가 생활과학의 대상인 가정이 건전하고 원만하게 운영되도록 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주월영(朱月榮) 등이 중심이 되어 1947년 서울에서 설립되었다.

그 뒤 1963년 6월 사단법인체로 인가를 받았고, 1968년 국제가정학회에 가입하였다. 창립 초기는 주로 중 ·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정립과 교사양성 및 가정생활의 과학적인 운영을 위한 계몽을 위주로 연구활동을 전개하였다. 점차 가정학 내용의 세분화가 이루어지면서 가정학 계열 학문의 연구가 심화되었고, 최근에는 세분화된 학문영역간의 학제적인 종합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로 창립된 이후 현재까지 식품영양학, 의류학, 아동가족학, 가족자원학, 소비자학, 주거학, 가정교육, 가정학 융합 분야를 주제로 매년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그 결과는 학회지에 수록되는데, 학회지는 1959년부터 『대한가정학회지』라는 이름으로 발간되었다. 2013년부터는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라는 명칭으로 발행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Human Ecology Research로 발간되고 있다.

국내외 학술교류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1977년에는 한·일 가정학회를 창립하였고, 1983년에는 아시아 가정학회 창립을 주도하였다. 1985년에는 제3차 국제 가정학회 아시아지역 대표자회의 및 한·일 가정학 심포지움을 개최하였고, 1997년에는 제9회 아시아 지역 가정학회(ARAHE) 및 제7차 한·일 가정학회를 개최하였다.

2011년에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amilies as Social Capital을 개최하였으며, 2014년에는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10주년, 과제와 전망: 10년을 돌아보고 10년을 미리보다」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2017년에는 창립 70주년 기념식 및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2025년에는 생활과학 분야 학회들과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학회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 있다.

참고문헌

홈페이지(http://www.khea.or.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