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감투 설화 (도깨비감투 )

구비문학
작품
몸에 붙으면 그것을 붙인 사람의 형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신이한 물건에 관한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도깨비감투설화」는 몸에 붙으면 그것을 붙인 사람의 형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신이한 물건에 관한 설화이다. 신이담에 속하며, 주보설화에 해당한다. 도깨비 감투라는 마술적 물건은 우리 설화에서는 흔하지 않은 환상적인 모티프로서, 소재적인 측면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 이 설화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긍정하고 있지만, 그것을 충족하는 과정에서의 부당한 방법은 경계하는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주제를 지니고 있다.

정의
몸에 붙으면 그것을 붙인 사람의 형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신이한 물건에 관한 설화.
특징

도깨비감투 설화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주로 머리에 쓰는 감투로 나타나고 있지만, 몸에 걸치는 등거리나, 나뭇잎 또는 풀잎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감투의 기능을 중시하여 ‘능통(能通) 감투’라고 불리기도 한다. 도깨비 감투는 신이한 능력을 가진 물건이라는 점에서 이 설화는 주보설화라고 할 수 있으며, 구전설화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 유형은 ‘요술의 모자’라는 화소를 지닌 외국의 많은 설화형과 비슷한 것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내용

어떤 사람이 우연한 기회에 도깨비 감투를 얻었다. 그것을 쓰면 자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그 사람은 감투를 이용하여 시장에 가서 남의 물건을 훔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번잡한 곳에서 지나가던 사람의 담뱃불에 감투를 태우게 되었는데, 아내에게 그 부분을 기워 달라고 하였더니 아내는 빨간 헝겊을 받쳐서 감투를 기워 주었다. 그것을 쓰고 계속하여 남의 집 물건을 훔쳐 왔으므로, 마침내 도둑을 맞은 사람들도 빨간 헝겊 조각이 왔다 갔다 하면 물건이 없어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 빨간 헝겊 조각이 나타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가 빨간 헝겊 조각이 나타나자 한꺼번에 덮쳤다. 감투를 벗기니 사람의 모습이 나타나 사람들이 모두 덤벼들어 그를 실컷 때려 주었다는 설화이다.

변이

이 유형에서 마술적 물건을 얻게 된 내력은 각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도깨비에게 직접 얻는 경우, 도깨비들이 장난하다 벗어 놓은 것을 가져온 경우, 나무 밑에 누워 있다가 곤충이 떨어뜨린 풀잎을 줍게 되는 경우 등의 내력이다. 도둑질의 형태도 시장에 가서 물건을 훔치는 것 외에 남의 집에서 준비해 놓은 제사 음식만 훔쳐 먹는 경우도 있고, 형제(또는 이웃) 간의 선악 대립을 담은 모방담의 구조로 전개되는 각편도 있다.

의의와 평가

도깨비 감투는 인간의 육신이 가진 한계를 벗어나 현실에서 그 결핍을 해소하고자 하는 욕구가 바탕이 되어 만들어진 상상력의 소산이다. 이 마술적 물건은 우리 설화에서는 흔하지 않은 환상적인 모티프로서, 소재적인 측면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대 문학의 소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김내성(金來成)의 소설 「도깨비감투」가 그 예이다. 이 설화는 재물에 대한 인간의 본능적 욕구에는 기본적으로는 긍정하고 있지만, 그것을 충족하는 과정에서의 부당한 방법에는 징계하는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주제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임동권, 『한국의 민담』(서문당, 1972)
임석재, 『옛날이야기선집』 3(교학사, 1971)

논문

박연숙, 「<도깨비 감투> 설화유형의 한일 비교」(『일본어문학』 73, 일본어문학회, 2016)
노용환, 「<도깨비 감투> 설화의 구조와 의미 및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