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연서원 ()

목차
유적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정구와 허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정구와 허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내용

1693년(숙종 19)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구(鄭逑)와 허목(許穆)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채제공(蔡濟恭)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현재는 강당인 8칸의 명륜당(明倫堂)만 남아 있으며, 서원의 유지는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전고대방(典故大方)』
『교남지(嶠南誌)』
『영남읍지(嶺南邑誌)』
『서원가고(書院可攷)』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입재선생유고(立齋先生遺稿)』
『만곡선생문집(晩谷先生文集)』
『봉화군지』(봉화군,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