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장이 구구 설화 (독장이 구구 )

구비문학
작품
가난한 독장수가 장밋빛 헛된 공상을 하다가 독을 깬 내용의 민담.
이칭
이칭
독장수 구구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독장이 구구 설화」는 가난한 독장수가 장밋빛 헛된 공상을 하다가 독을 깼다는 내용의 민담이다. 소화(笑話) 가운데 치우담(癡愚譚)에 속하는 설화이고, "독쟁이 구구" 속담의 배경 설화이다. 구전 설화로 널리 전해지며,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주리파옹(籌利破甕)」 조(條), 『성수패설(醒睡稗說)』에 「옹산(甕算)」 조로 실린 문헌 설화이기도 하다. 「독장수 구구 설화」는 『이솝 우화』의 「아가씨와 우유 항아리」와 내용이 유사하며, 이 설화 유형은 노력하지 않고 욕심만으로 헛된 결과를 꿈꾸는 자세를 비판한다.

정의
가난한 독장수가 장밋빛 헛된 공상을 하다가 독을 깬 내용의 민담.
개설

소화(笑話) 가운데, 어리석고 모자란 사람들의 어리석은 행동을 중심으로 하는 치우담(癡愚譚)에 속한다. 구전 설화로 널리 전해지며,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주리파옹(籌利破甕)」 조(條), 『성수패설(醒睡稗說)』에 「옹산(甕算)」 조로 실린 문헌 설화로도 알려져 있다.

공상적인 이익을 셈하는 것과 관련된 속담인 "독쟁이 구구"의 배경 설화이기도 하다.

내용

어느 가난한 독장수가 독을 팔려고 지고 가다가, 나무 그늘에서 잠깐 쉬었다 가기 위하여 독을 진 지게를 막대로 버티어 놓고 그 밑에 앉아 궁리를 시작했다.

“독 하나를 팔면 두 개를 살 수 있고, 이런 방식으로 계속 이익을 남기다 보면 가히 천만금을 쉽게 얻게 되므로, 큰 부자가 될 것이고, 많은 논밭을 사 들이고 고래 등 같은 집을 짓고서 장가를 들게 되면, 어진 아내와 예쁜 첩이 모여들어 그들을 좌우에 거느리고 즐기게 되니 어찌 즐겁지 않으랴.” 하는 연쇄적 공상으로 기뻐하다가 문득 다른 생각이 떠올랐다.

"아내와 첩을 같은 방에 있게 하면 필시 그들은 서로 다툴 것이므로 호령으로 꾸짖고, 그래도 말을 안 들으면 손을 들어 이렇게 때려야겠다."라고 하면서, 두 팔을 뻗어 때리는 시늉을 하는 순간 지게를 받쳤던 막대기를 건드려 지게는 넘어가고 독은 박살이 나고 말았다.

독장수는 얼떨결에 놀라면서 역시 처첩을 두는 것은 해로운 일이라고 탄식했다.

현황

각편에 따라서는 독장수가 독 안에 들어간 이유가 소나기를 피하기 위해서라든가, 한밤중에 잠을 자기 위한 것으로도 나타나기도 한다. 독을 깨뜨리는 과정은 공상을 하던 끝에 춤을 추거나 발길질을 해서 직접 깨뜨리기는 경우와 세찬 바람에 독이 저절로 넘어져 깨지는 경우가 있다. 공상 내용은 장사를 잘 해서 큰 부자가 되어 많은 토지를 장만하고 큰 집을 짓는 공상의 기쁨만 설정되거나 앞의 기쁜 공상 끝에 처첩의 갈등으로 인한 근심 공상이 덧붙기도 한다.

의의와 평가

소화가 웃긴 이야기라고 해서 무의미한 웃음만 주는 건 아니다. 웃음 속에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인생에 대한 깊은 통찰이 있다. 이 설화는 지나친 헛된 공상은 현실 생활을 망칠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하면서, 노력하지 않고 욕심만으로 헛된 결과를 꿈꾸는 어리석은 자세를 비판한다.

「독장수 구구 설화」는 민담의 보편성, 세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이솝 우화』의 「아가씨와 우유 항아리」도 이 설화와 매우 유사하다. 「아가씨와 우유 항아리」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주인공이 머리에 우유 항아리를 이고 농장을 향해 걸으면서 장밋빛 공상에 빠진다. 우유를 팔아서 달걀을 사고 부화한 병아리를 키워 돈을 벌어서 예쁜 옷을 사 입으면 남자들의 구애를 받을테고, 구애를 거절하는 행동을 하다가 생계 유지에 중요한 항아리를 깨뜨리고 만다.

참고문헌

원전

『어우야담(於于野譚)』
『성수패설(醒睡稗說)』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단행본

『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국립민속박물관, 2012)
손진태,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임동권, 『한국의 민담』(서문당,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