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동화사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청원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청원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화당로(문동리) 동화사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불상.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화당로(문동리) 동화사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불상.
내용

높이 1.48m. 1990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원래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었던 동화사 서편의 산 능선에 손상된 채로 있던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300여 년 전에 현재의 절을 중수하면서 옮겨 봉안하였다고 한다.

동화사란 사명(寺名)은 근래에 와서 붙인 것으로 불상의 원위치로 추정되는 지점에는 고려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와편(瓦片)과 석탑 부재가 흩어져 있다.

비로자나불은 현재 법당 내에 봉안되어 있다. 화려한 8각 연화대좌(蓮華臺座) 위에 앉아 있는 좌상의 형태를 하고 있다. 두부(頭部)는 일부 파손되었고 후대의 보수가 더해진 까닭으로 원래의 모습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개를 약간 옆으로 돌린 비만한 방형(方形: 네모반듯한 모양)의 얼굴에 작은 입술을 살짝 다물고 있으며 반타원형의 눈에 새로 그려 넣은 눈동자가 생경하다.

나발(螺髮: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에는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희미하다. 그리고 후보(後補 : 뒤에 보수함)된 귀는 나머지 부분과 조화되지 못하고 다소 겉도는 느낌을 준다. 이 점은 지나치게 날카로운 코 또한 마찬가지라 하겠다.

목에는 굵은 고리형의 삼도(三道)를 돌리고 있다. 두껍게 개금을 입힌 탓으로 차가우면서도 어딘지 모르게 침울한 기운이 느껴진다. 착의 형식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에 가까운 모습이다. 굵고 소략하게 처리된 옷주름에서 다분히 형식화되고 있는 옷주름 무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어깨를 감싸며 흘러내려 온 옷자락이 팔꿈치를 지나며 굵게 주름 잡히고 가슴에서부터 U자형의 옷주름이 앞으로 흘러내린다. 신체에 밀착된 불의(佛衣)를 통해 신체의 굴곡과 살집이 얼마간 드러나 보이나 전반적으로 차갑고도 건강한 인상을 풍긴다.

수인(手印) 또한 정확한 형태 파악이 어렵다. 왼손을 위로 하고 오른손을 아래로 하여 몸 앞에서 오른 집게손가락을 왼손으로 감싸고 있다. 통식(通式)에서 벗어난 다소 서투른 지권인(智拳印)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좌는 통일신라 후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전형적인 3단 8각연화좌이다. 법당의 마룻장을 뜯고 8각의 지대석(地臺石)을 놓았는데, 지대석과 한 돌로 조성한 하대석의 경우 화려한 복판(複瓣: 겹꽃잎) 8엽(葉)의 앙련(仰蓮: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을 새기고 각 모서리에는 다시 귀꽃 장식을 덧붙이고 있다.

중대석(中臺石)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 모서리 기둥)를 새겼다. 면석(面石) 내부에는 향로, 합장한 공양상,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과 지권인을 결한 결가부좌의 여래상이 부조되어 흥미를 끈다.

상대석에는 8엽의 앙련을 조각하였다. 연판(蓮瓣: 연꽃잎) 사이 사이로 보상화문(寶相華文)을 정교하게 배치하였다. 석불의 조성 연대는 대좌의 형식, 존안(尊顔) 표현 등에서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로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문화재지』(충청북도, 1982)
『충청북도지』(충청북도, 1992)
집필자
최성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