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비의 나이 자랑

구비문학
작품
동물들의 나이 자랑에서 두꺼비가 좌장(座長)을 차지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칭
이칭
쟁년 설화, 나이 자랑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두꺼비의 나이 자랑」은 동물들의 나이 자랑에서 두꺼비가 좌장(座長)을 차지한다는 내용의 설화이다. 약자로 보이는 두꺼비가 강자인 동물들을 이김으로써, 어리석어 보이는 자가 실제로는 지혜롭다는 주제를 드러낸다. 고전 소설 「두껍전」을 비롯하여 쟁장형(爭長型) 소설들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된다.

정의
동물들의 나이 자랑에서 두꺼비가 좌장(座長)을 차지한다는 내용의 설화.
전승 및 채록

동물 우화(寓話)의 하나로 지략담에 속한다. 문헌보다는 구전 설화(說話)가 많다. 이 설화는 『고려대장경』 권 34의 「십송률(十誦律)」에도 실려 있는데, 이를 근거로 불전(佛典)에서 영향을 받은 설화로 인정되고 있다. 여기에는 세 동물이 각각 코끼리 · 원숭이 · 사막새로 나타난다. 김정국(金正國,1485~1541)『사재척언(思齋摭言)』 「하마여토호식병(蝦蟆與兎狐食餠)」에서는 종교적 의미가 사라지고 한국에 토착화된 초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사슴, 토끼, 두꺼비가 모여서 서로 자기가 나이가 많다고 자랑하게 되었다. 사슴은 천지가 개벽할 때 자신이 그 일을 거들어 주었다 하고, 토끼는 그때 사용한 사닥다리를 만들기 위한 나무를 자기 손으로 심었으므로 사슴보다 연장자라고 내세운다. 이 말을 듣고 있던 두꺼비는 훌쩍이면서 말하기를, “내가 자식 셋을 두었는데, 세 아들이 각각 나무를 한 그루씩 심었다. 큰아들은 그 나무로 하늘에 별을 박을 때에 쓴 망치 자루를 만들고, 둘째는 자기가 심은 나무로 은하수를 팔 때에 쓴 삽자루를 만들고, 셋째는 제 나무로 해와 달을 박을 때에 쓴 망치 자루를 만들어 일을 하였다. 아들 세 명이 모두 그 큰일 때문에 과로하여 죽어 버렸는데 지금 사슴과 토끼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죽은 자식들 생각이 나서 운다.”라고 하였다. 결국 두꺼비가 제일 어른으로 판정되어 상좌에 오르게 되었다.

변이

대개의 경우, 여러 동물들이 모인 가운데서 어른을 선출하는 회의를 하는 도중에 나이 자랑을 하는 이야기로 구성된다. 등장하는 동물의 변이는 다양하지만, 가장 지혜로운 자는 대체로 두꺼비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세 동물 중 다른 동물의 이름이나 자랑의 내용이 밝혀지지 않은 채 두꺼비의 이야기만 드러내는 설화가 많다.

특징

나이 자랑의 설화에서는 최초로 말한 자가 언제나 불리하게 되고 둘째, 셋째로 진전함에 따라 유리하게 표현된다. 그것은 나이 자랑의 의도가 어른 대접을 받고자 하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경쟁 심리를 일으켜 이미 말한 상태보다 더 이전의 상태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상상력을 동원한 지혜와 지략이 산출되며, 그것은 모두 비현실적으로 과장된다. 여기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의의 및 평가

이 설화는 약자로 보이는 두꺼비가 강자인 동물들을 이김으로써, 어리석어 보이는 자가 실제로는 가장 지혜롭다는 주제를 드러낸다. 이 설화는 고전 소설 「 두껍전」을 비롯한 동물 우화 소설 중에서 특히 쟁장형(爭長型) 소설들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손진태, 『朝鮮民族說話의 硏究 : 民族說話의 文化史的 硏究』(을유문화사, 1947)
임동권, 『韓國의 民譚』(서문당, 1979)

단행본

장덕순 외, 『口碑文學槪說 : 口碑傳承의 韓國文學的 考察』(일조각, 1971)

논문

심우장, 「<나이자랑설화>에 나타난 구술문화적 특성」, (『구비문학연구』 46, 한국구비문학회, 2017)
윤승준, 「한ㆍ몽 설화의 비교-爭年說話를 중심으로」(『비교민속학』 22, 비교민속학회, 200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