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4책. 목판본. 1859년(철종 10) 배석일(裵錫一)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을 실었고, 원집 끝에 정교(鄭墧)의 발, 부록 끝에 후손 홍모(洪模)의 후지, 도천서원(道川書院)에서 개간하였다는 간기(刊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110수, 부 1편, 권2는 서(書) 72편, 권3은 묘표 4편, 축문 13편, 제문 36편, 권4는 잡저 2편, 권5는 부록으로 허목(許穆)이 지은 묘갈명, 장응일(張應一)이 지은 묘지명, 박진구(朴震耉)가 지은 행록·제문·만사, 권6은 부록으로 세계도(世系圖)·연보·도천서원묘우상량문(道川書院廟宇上樑文) 등이 실려 있다.
정교는 발문에서 이 책의 시문을 평하여 “담박하면서도 고상하고 원활하면서도 평정하여 도학적인 운치가 있다.”고 하였다. 시는 대부분이 차운과 서정시이며, 만사는 시와 별도로 분류되었는데, 정구(鄭逑)·이윤우(李潤雨) 등 당시의 유명 인사들에 대한 것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정구·장현광(張顯光)·유진(柳袗)·허목·조임도(趙任道) 등 명현들과 학문에 관하여 왕복한 서한이 많다. 잡저의 「경재잠해(敬齋箴解)」는 주희(朱熹)의 「경재잠」을 저자가 모두 10개 조항에 걸쳐 주석을 붙이고 소상하게 해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