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재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택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택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손자 상대(相大)가 편집한 것을 1937년 현손 정섭(廷燮)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김석(金㙽)·정섭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4수, 서(書) 10편, 권2·3에 서(書) 10편, 잡저 13편, 서(序) 1편, 제문 7편, 광지(壙誌) 1편, 유사 1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제문·뇌사(誄辭)·가장(家狀)·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중 문목(問目)은 주로 『주서절요(朱書節要)』와 『주자어류(朱子語類)』에 관한 것이 많고, 잡저의 「주서절요차의(朱書節要箚疑)」와 「중용대학수장도(中庸大學首章圖)」도 주자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역학계몽의의(易學啓蒙疑義)」와 「기삼백포산도(朞三百布算圖)」에서는 저자가 역학(易學)과 수리(數理)에도 일가견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서(序)의 「심의집설서(深衣集說序)」는 심의에 관한 학설을 수집하여 책을 만들고 쓴 서문이다. 그러나 이 『심의집설』은 전하지 않는다. 심의는 상고시대 법복(法服)의 유제(遺制)로서 천자(天子)로부터 서인까지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입을 수 있는 것으로서, 채색이 있으면 심의(深衣), 흰 것은 장의(長衣), 베로 만들면 마의(麻衣), 조복(朝服)이나 제복(祭服)의 속에 입으면 중의(中衣)라고 한다. 송대(宋代)에 사마광(司馬光)이 지어서 연거복(燕居服)으로 삼았고, 주자는 『가례(家禮)』를 엮으면서 그 도식(圖式)을 기록하였으나 미처 정리하지 못하여 주자가 만년에 입던 것과는 다르다고 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