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갈 ()

고대사
개념
6세기~10세기경 만주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였던 주민 집단.
이칭
이칭
Mohe
내용 요약

말갈은 6세기~10세기경 만주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였던 주민 집단이다. 북제(北齊) 무성제(武成帝) 하청(河淸) 2년(563년)에 조공한 것으로 처음 등장하여 요(遼) 태종(太宗) 회동(會同) 원년(938년)까지 기록이 보인다. 거주 지역과 풍속의 유사성 등을 근거로 숙신-읍루-물길의 후예이자 여진의 선조로 언급되기도 한다.

정의
6세기~10세기경 만주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였던 주민 집단.
계통과 명칭

말갈의 계통에 대해서는 숙신 · 읍루 · 물길 · 말갈 · 여진으로 이어지는 퉁구스계 종족이라는 일원적 계통론과 말갈로 통칭되는 집단 속에 예맥계(濊貊系)와 숙신계(肅愼系)가 섞여 있다는 다원적 계통론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일원적 계통론은 혈연적 동질성에, 다원적 계통론은 문화적 동질성에 초점을 두며, 수 · 당 시기 중국인이 동북아시아 이종족을 낮추어 불렀던 비칭(卑稱)이란 견해와 고구려의 일부 피지배 주민을 가리키는 종족명이었다는 설이 있다. 말갈의 의미로는 원음(原音)이 Moxo, 또는 Moho로서 여진어의 물[水]을 뜻하는 Muke와 연결하는 견해가 대표적이며, 이 경우 ‘말갈은 물가에 사는 사람들’의 뜻이다.

이 밖에 만주 동북지방에서 나는 붉은 보석[紅寶石]의 이름이 말갈인데, 이것이 종족 명칭으로 확대되었다거나, 흑룡강 유역의 골리드족, 오로친족이 흑룡강을 Mangu라 부른다는 것과 연결해 말갈[Mat-hat], 물길[Mat-kat]이 Magu의 음역이라는 주장, 옥저(沃沮) · 읍루(挹婁) · 부여(夫餘)와 물길 · 말갈, 명대(明代)의 올자(兀者) 등이 모두 만주어로 삼림을 뜻하는 wōjí[窩集]에서 나왔다는 견해도 있어 정설이 없는 상태이다.

내부 구조 및 거주 지역

말갈에 관한 기록과 정보를 모아 별도의 열전으로 구성한 것은 주1』가 처음이고, 이후 주2』에는 말갈열전이, 주3』에는 흑수말갈열전이 수록되었다. 주4』와 주5』에는 흑수말갈열전이 있다. 따라서 『수서』 말갈열전에서 전하는 정보가 말갈 연구의 기초가 된다.

『수서』 말갈열전에 따르면 속말부(粟末部), 백돌부(伯咄部), 안거골부(安車骨部), 불열부(拂涅部), 호실부(號室部), 흑수부(黑水部), 백산부(白山部)의 7개 부(部)로 나뉘어 있다고 하는데, 주6』에 인용된 북번풍속기(北藩風俗記)에는 수나라 때 속말부의 거수(巨帥) 돌지계가 자신의 부인 궐계부(厥稽部)를 비롯하여 홀사래부(忽賜來部), 굴돌시부(窟突始部), 열계몽부(悦稽䝉部), 월우부(越羽部), 보호뢰부(步護賴部), 파해부(破奚部), 보보괄리부(步步括利部) 등을 이끌고 수에 귀부했다고 하였다.

『신당서』 흑수말갈열전에는 흑수부 주변에 사모부(思慕部), 군리부(郡利部), 굴설부(窟說部), 막과예부(莫曳皆部) 등이 있고, 또 불열(拂涅) · 우루(虞婁) · 월희(越喜) · 철리(鐵利) 등의 부락이 있었다고 한다.

이 중 불열부, 철리부, 월희부는 8세기에 당나라에 자기 부의 이름으로 조공을 하였다. 이런 점을 볼 때 『수서』의 말갈 7부는 당시에 알려진 대표적인 부였고, 각 부 아래에는 다시 작은 부들이 속해 있었으며, 당나라 때가 되면 일부 세력은 소멸 또는 주변부에 흡수되어 새로운 부명으로 알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말갈의 거주 지역은 만주 동북부의 송화강과 목단강, 흑룡강 일대에 넓게 분포하였는데, 속말부를 기준으로 할 때 백돌부는 속말부의 북쪽, 안거골부는 백돌부의 동북쪽, 불열부는 백돌부의 동쪽, 호실부는 불열부의 동쪽, 흑수부는 안거골부의 동북쪽, 백산부는 속말부의 동남쪽에 있었다고 한다.

주요 풍속

『수서』 말갈열전에 따르면 읍락마다 우두머리가 따로 있어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땅이 낮고 습한 곳에서 흙을 둑처럼 쌓고 출입구를 위로 낸 구덩이를 파고 사다리로 드나든다. 돼지가 많으며 쌀을 씹어 술을 만들고, 부인은 베를 입고 남자는 돼지나 개 가죽을 입는다고 한다. 이런 풍속은 『 위서(魏書)』 물길열전의 내용과 거의 같아 물길과 말갈의 연결 관계를 상정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고구려, 발해와의 관계

『수서』 말갈열전에는 속말부가 정예로운 병사가 수천 명으로 늘 고구려를 침략한다고 하였고, 『구당서』 말갈열전에는 백산부가 본래 고구려에 부용되었다고 했으며, 실제로 수나라 말에 속말부 소속의 돌지계가 고구려와의 싸움에서 이기지 못하자 자신의 부와 주변 부락을 이끌고 수나라에 귀부한 사실이 있다.

고구려는 598년에 영양왕이 말갈병을 거느리고 요서 지방을 침입하였으며, 645년 당 태종의 침입 시 안시성 전투에 말갈병을 동원하였는데 3천여 명이 당군의 포로가 되어 생매장당한 일이 있다.

이로 보아 고구려는 일부 말갈에 대해 강한 영향력과 통제력을 갖고 있었으며, 그들의 자치를 허용하며 간접적으로 지배했다고 생각된다. 다만 645년 안시성 전투에는 당군으로 참전한 말갈병도 있어 고구려가 말갈 전체를 지배한 것은 아니며, 말갈 부락이 자신들의 이해 관계에 따라 고구려와 중국 왕조를 선택하여 살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멸망 이후 말갈의 일부 세력은 고구려 유민과 함께 발해 건국에 참여하였으며, 『신당서』 말갈열전에는 발해 건국자 대조영(大祚榮)이 속말부 출신이란 기록도 있다.

일본의 『유취국사(類聚國史)』에는 학승(學僧) 영충(永忠)의 전언을 바탕으로 발해 촌리(村里)가 모두 말갈부락이고 백성은 말갈이 많고 토인(土人)이 적다고 하였는데, 발해 전체가 그렇지는 않다 하더라도 말갈이 발해 주민의 주요 구성 부분의 하나였음은 인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구당서(舊唐書)』
『북제서(北齊書)』
『삼국사기(三國史記)』
『수서(隋書)』
『신당서(新唐書)』
『요사(遼史)』
『위서(魏書)』
『유취국사(類聚國史)』
『책부원귀(冊府元龜)』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

단행본

김락기, 『高句麗의 東北方 境域과 勿吉 · 靺鞨』(경인문화사, 2013).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모시는사람들, 2005).
韓圭哲, 『발해의 대외관계사』(신서원, 1994).
孫進己 著, 林東錫 譯, 『東北民族源流』(東文選, 1992).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 朝鮮傳 譯註 二』(1988).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 朝鮮傳 譯註 一』(1987).
鳥山喜一, 『渤海史考』(原書房, 1977).
凌純聲, 『松花江下游的赫哲族』(國立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1934).

논문

김현숙, 「‘고구려사에서의 말갈’ 연구의 현황과 과제」( 『東北亞歷史論叢』 61, 2018).
김진광, 「발해와 말갈 관계의 연구현황과 과제」 (『民族文化論叢』 60, 2015).
河上 洋, 「東北アジア諸民族の民族的系譜について-肅愼から渤海へ-」(『硏究論集』2, 名古屋河合敎育硏究所, 2006).
한규철, 「주민구성으로 본 계승관계」(『高句麗와 渤海의 계승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5).
陳陶然 · 趙可, 「靺鞨族名来源新考」(『北華大學學報(社會科學版)』제4권 제3기, 2003).
都興智, 「略论东北古代族名与山水之名的关系」(『社會科學戰線』2001년 1기, 2001).
李純根, 「靺鞨의 種族 正體性에 대한 一硏究」(『論文集』2,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1995).
金賢淑, 「高句麗의 靺鞨支配에 관한 試論的 考察」(『韓國古代史硏究』6, 1992).
한규철, 「高句麗時代의 靺鞨硏究」(『釜山史學』14 · 15合輯, 釜山史學會, 1988).
盧泰敦, 「渤海國의 住民構成과 渤海人의 族源」(『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歷史學會, 1985).
陳顯昌, 「渤海國史槪要(一)」(『齊齊哈爾師範學院學報』1983­1, 1983).
馮繼欽, 「靺鞨族共同體類型及其特征初探」(『北方文物』1986­2, 1982).
權五重, 「靺鞨의 種族系統에 관한 試論」(『震檀學報』49, 震檀學會, 1980).
王承禮, 「靺鞨的發展和渤海王國的建立」(『吉林師大學報』1979-3, 1979).
日野開三郞, 「靺鞨七部の前身とその屬種」(『史淵』38 · 39合, 1948).
小川裕人, 「靺鞨史硏究に關する諸問題」(『東洋史硏究』5, 東洋史硏究會, 1937).
池內宏, 「勿吉考」(『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15, 1934).
津田左右吉, 「勿吉考」(『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제1, 東京帝國大學 文科大學, 1915).
주석
주1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 중국 당나라 때, 위징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펴낸 중국 수나라의 정사(正史)로 636년에 간행되었다.

주2

중국 후진(後晉) 때에 유구(劉呴)가 편찬하여 945년에 장소원(張昭遠)이 완성한 중국 당나라의 정사.

주3

중국 송나라 때에 구양수(歐陽修), 송기(宋祁) 등이 편찬한 당나라의 정사(正史).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구당서』에 빠진 것과 틀린 것을 바로잡아 펴낸 책이다.

주4

중국 송나라 때에 설거정(薛居正) 등이 지은 중국 후오대의 역사를 기록한 책.

주5

중국 송나라 때에 구양수 등이 지은 역사책.

주6

중국 송나라 때에 악사(樂史)가 지은 지리지. 현재 전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리서이다.

집필자
김락기(인천문화재단 본부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