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운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면운재문집
면운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주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주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76년(고종 13) 후손 기영(岐榮)·덕영(德榮)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권2에 서(書)·잡저·서(序), 권3·4에 기(記)·발(跋)·상량문·고사(告辭)·제문·뇌사(誄辭)·묘지명·묘갈명·행록, 권5에 행록(行錄), 권6은 부록으로 행장·가장(家狀)·묘지명·묘갈명·만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위(魏)·진(晉)의 영향을 받아 전아하고 체계가 있다. 8세 때 지은 「화매시(畫梅詩)」를 비롯하여 83세 때 지은 「희제(戱題)」는 잘 묘사된 작품이다.

서(書) 중 채제공(蔡濟恭)에게 준 서한은 저자의 선조 휘일(徽逸)이 찬술한 『홍범연의(洪範衍義)』를 보내니 보고 임금에게 한 번 보이는 것이 좋겠다는 내용이고, 또 하나는 휘일의 묘비(墓碑) 앞면에 새길 글씨를 써달라는 부탁이다.

잡저 중 「우독만기(偶讀謾記)」는 중국과 우리 나라 역대의 사성(賜姓)·개성(改姓)·씨(氏)·본관(本貫) 등을 고증적으로 열거하여 밝힌 것이다. 「조화유감설(厝火有感說)」은 음양의 상교(相交)·성쇠(盛衰)와 절후의 운행하는 이치를 온돌방에 비유하여 설명한 글이다.

서(序)의 「감세제시서(感歲除詩序)」는 12세 때 「제석시(除夕詩)」를 짓고나서 그 서를 쓴 것으로, 옛날 우(禹)임금도 촌음(寸陰)를 아꼈는데 자신은 분음(分陰)을 아껴 학업에 열중하겠다는 내용으로 문사(文辭)가 뛰어난 글이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