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평왕 때에 축성 등 공사에 있어서 군상촌주(郡上村主) 또는 작상인(作上人, 城使上)을 보좌하면서 성(城)의 면석을 다듬고 운반하는 책임을 맡은 장인이다. 이는 남산신성비(591)에만 보이는데, 그 출신지역에 따라 면착상(面捉上)·면석착인(面石捉人)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이름이 남산신성비의 단계에서 나타난 것은 그 이전에는 각 지방의 장인들을 집단으로 파악하였으나, 행정조직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술직들의 직능에 따라 작상인(또는 城使上)·장척·문척(文尺)·면석착인(面石捉人, 面捉上人)·소석착인(小石捉人, 石捉上) 등으로 분화 편제되었던 사실을 반영한다.
그런데 이들 기술직들은 관등에 있어서 작상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이들의 기술적 전문성 곧 일종의 분업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분화·편제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특히 이들을 해당작업의 책임자를 지칭하는 상인이라고 일컬었다는 점에서, 이들은 그 휘하에 일반 역부 또는 잡공들을 거느리고 성의 면석을 다듬고 운반하여 성을 쌓는 일을 책임맡았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