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5년(고종 12) 임헌회(任憲晦)의 교열을 거쳐, 1892년 최남두의 후손 최병오(崔秉五)·최덕환(崔德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과 임헌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기정진(奇正鎭)과 정재규(鄭載圭)의 발문이 있다.
8권 3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251수, 권3에 서(書) 46편, 권4에 기(記) 2편, 서(序) 1편, 발(跋) 4편, 잡저 5편, 명(銘) 1편, 제문 5편, 애사 4편, 상량문 1편, 부록의 권1에 세계(世系), 권2에 연보, 권3에 행록(行錄)·행장·묘갈명·묘지명·유사, 권4에 만사·제문·옥계서원중수상량문(玉溪書院重修上梁文)·봉안문·이안문(移安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이 문집에 수록된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비교적 담박하고 온아하면서 도학자적인 운치가 있으며, 당시의 저명인사들과 서로 수창한 것이 많다.
「향옥재팔영(香玉齋八詠)」은 저자가 살고 있던 향옥재 주변의 8경을 읊은 것이다. 칠언절구로 잘 묘사된 작품이다.
「차퇴계도산서당십팔운(次退溪陶山書堂十八韻)」은 도산서당·암서헌(巖棲軒)·완락재(翫樂齋)·유정문(幽貞門)·정우당(淨友堂)·절우두(節友杜)·농운정사(瓏雲精舍)·시습재(時習齋)·지숙료(止宿寮)·관란헌(觀瀾軒)·곡구암(谷口巖)·천연대(天淵臺)·탁영담(濯纓潭)·반타석(盤沱石)·동취병산(東翠屛山)·서취병산(西翠屛山)·부용봉(芙蓉峰)·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 등을 차운한 것이다. 당시 도산서당 주변의 전모를 소상하게 묘사하였다.
서(書) 가운데 윤봉구(尹鳳九)에게 올린 서찰은 사제간의 문답 내용이다. 『대학』·『중용』·예설(禮說)·인물·이기(理氣) 등에 관한 문목과 답변이 들어 있다. 권진응·이의조·신경(申暻) 등과 주고받은 서한은 단편적이지만, 주로 학문을 토론한 것들이다.
기 가운데 「향옥재향음주례기(香玉齋鄕飮酒禮記)」는 저자가 서재인 향옥재에서 향음주례를 베풀었던 일을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