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산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모산유고
모산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800년(정조 24) 손자 수(椓)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규(柳0x9958)·정종로(鄭宗魯) 등의 서문과 권말에 유일춘(柳一春)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56수, 권3에 서(書) 22편, 서(序) 1편, 기(記) 4편, 발(跋) 1편, 논(論) 2편, 잠(箴) 10편, 권4에 쇄록(瑣錄), 권5에 잡저 7편, 잡기(雜記) 4편, 권6에 제문 15편, 애사 3편, 유사 1편, 통문(通文) 4편, 정문(呈文) 1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이 서정(敍情)을 읊조리되 감상에 젖지 않고 객관적 관조(觀照)를 보여주고 있으며, 차운시(次韻詩)에 있어서도 문식(文飾)보다 사의(辭意)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시의 편차는 연대순으로 되어 있다.

서(書)는 안동지방의 유림들과 학문에 관하여 왕복한 것이 대부분이다. 논에는 기자(箕子)가 주무왕(周武王)을 위하여 홍범(洪範)을 베풀었다는 데 대한 논설이 있다.

「쇄록(瑣錄)」은 스승 권구와 문답한 것을 기록한 것으로, 불씨(佛氏)의 이론을 배격하고 이기설(理氣說)과 『중용』·『대학』 긍경(肯綮)의 요체를 밝힌 장편의 기록이다.

잡저 가운데 「이학통록개간시말(理學通錄開刊始末)」은 송나라 주희(朱熹)의 이기설과 육구연(陸九淵)의 이일원론(理一元論)을 밝힌 『이학통록』의 발간경위를 적은 것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