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산학사 ()

목차
관련 정보
미산학사
미산학사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김이도가 친족들을 교육하기 위해 건립한 강학당.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미산학사(眉山學舍)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1985년 08월 05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예천군 보문면 미호리 123-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김이도가 친족들을 교육하기 위해 건립한 강학당. 교육시설.
내용

1985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이 마을사람인 김이도(金以道)가 그의 만년인 1670년(현종 11)에 창건하고 인근의 친족들에게 글을 가르쳤다.

1750년(영조 26)에 중수한 뒤 여러 차례 보수를 하여 지금까지 보존되었다. 잡석으로 쌓은 축 대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서 겹처마를 가진 팔작식 지붕이며, 주위에 난간을 돌린 2층 누식(樓式)의 건물이다. 보호구역 안에는 삼경당(三慶堂)과 정침(正寢)이 각 1동씩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윤용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