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골산성 ()

목차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동구 백골산(白骨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테뫼식으로 축조된 석축 성곽. 산성.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백골산성(白骨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기념물(1991년 07월 10일 지정)
소재지
대전 동구 신하동 산27-1번지 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동구 백골산(白骨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테뫼식으로 축조된 석축 성곽. 산성.
내용

1991년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표고 340m의 백골산 정상부에 축조된 둘레 약 400m의 테뫼식(산 정상을 둘러 쌓은 성) 석축산성이다. 가파른 지형에 축조된 관계로 성벽은 완전히 무너져 내려 원상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이다.

산세가 대단히 험하므로 지세가 완만한 부분만 군데군데 축조하고 나머지는 자연지세를 이용하고 있다. 이 산성은 서쪽으로는 계족산성(사적., 1991년 지정), 동쪽으로는 환산성(環山城)과 연결되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백골산은 대전 동쪽 약 4리(里)의 옥천군계(沃川郡界)를 이루고 있는 산 위에 있는 석루(石壘)로서 둘레는 약 220칸(間)”이라 하였고, 《문화유적총람》에는 “높이 344m의 백골산에 있는 산성으로 정상부에 석성이 있는데, 백제시대 축조된 것이라 하며, 둘레는 약396m이다. 백제와 신라가 싸워서 사람이 많이 죽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전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대전시사』 4(대전직할시시사편찬위원회,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