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창 ()

목차
관련 정보
봉창
봉창
주생활
개념
창틀이나 창살이 없이 토벽에 구멍을 뚫어 채광하는 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창틀이나 창살이 없이 토벽에 구멍을 뚫어 채광하는 창.
내용

주로 토벽집의 벽면에 설치한다. 봉창이 아주 작을 때에는 살 없이 만들지만 조금 크면 토벽의 흙이 떨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나뭇가지를 꺾어 살을 받치고 만든다. 보통 토벽을 칠 때 봉창이 될 곳은 외만 남겨놓고 흙을 바르지 않으며, 토석벽을 칠 때에는 외엮기가 없으므로 봉창이 될 곳을 나뭇가지로 버텨 공간을 만들고 쌓아 올린다.

이와 같이 봉창은 벽을 완성한 다음에 뚫는 것이 아니고 미리 공간을 남겨 놓고 쌓아 올라가는 것이다. 방에 내는 봉창은 종이가 흔해지면서 백지를 발라 찬바람을 막고 채광만 되도록 만들었으나 부엌이나 헛간의 봉창은 통풍이 되도록 터놓아 두었다.

특히 부엌에서는 불을 때기 때문에 연기를 빼기 위한 봉창 설비가 필요하다. 연기의 소통을 위한 봉창은 처마밑에 내는데,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뚫는 수도 있고 외를 촘촘히 엮어 길게 내는 수도 있다. 조금 잘 만드는 집에서는 약간 굵은 나뭇가지를 세워 살을 만들고, 대나무를 짜개어 가로대를 대고 가는 새끼줄로 얽어 예쁘게 정리한다.

이 밖에 방과 부엌 사이에 벽을 뚫고 봉창을 내어 코쿨을 만들기도 하며, 집 둘레의 토담이나 토석담에 봉창을 내기도 한다. 토담에 내는 봉창은 경주의 옥산서원(玉山書院)과 같이 밖의 경관을 내다보려고 뚫기도 하고 밖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뚫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