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청산성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청산성 전경
부여 청산성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테뫼식으로 축조된 토축 성곽. 산성.
이칭
이칭
청산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청산성(扶餘 靑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테뫼식으로 축조된 토축 성곽. 산성.
내용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99,600㎡, 둘레 약 500m. 산 정상을 둘러쌓은 테뫼형의 산성이며 삼중(三重)의 토성으로 되어 있다. 청산성의 북쪽 성벽은 나성(羅城)과 연결되어 있어서 나성과 동일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 부여 고적조에 “석축주 1,800척 고5척 내유삼천유군창 청산성재현동일리석축(石築周一千八百尺高五尺 內有三泉有軍倉 靑山城在縣東一里石築)”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삼국사기≫ 백제본기 무왕 6년조에 “춘2월축각산성(春二月築角山城)”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에는 석축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는 토루(土壘)만 남아 있고 샘과 군창은 없다. 이 성을 주민들은 지금도 ‘풀뫼’·‘뿔뫼’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것을 한자로는 각산성(角山城)·청산성(靑山城)이라고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청산성은 605년(무왕 6)에 백제의 수도 사비를 수호하기 위하여, 즉 수도 사비에서 웅진(熊津)으로 통하는 길목을 지키기 위하여 나성과 함께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 부근에서는 호안석(護岸石)이 발견되고 있으며, 청산성 앞에는 월함지(月含池)가 있다. 이 물은 동쪽에 있어 청마산성(靑馬山城)과 사비 도성내에서 흐르는 물들이 흘러 들어오게 되어 있는데, 이 물은 다시 청산성을 돌아서 북쪽 백마강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있어, 성 밖으로 둘러싸고 있는 해자(垓字) 구실을 하게 되어 있다.

참고문헌

「백제성지연구」(홍사준, 『백제연구』 2,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71)
「백제사비도성연구」(성주탁, 『백제연구』 13,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82)
「백제테뫼식산성의 형식분류」(공석구, 『백제문화』 24, 1994.2.)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