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사은유고<2>
사은유고<2>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규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규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896년 후손 탁헌(鐸憲)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과 탁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오계수(吳繼洙)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4수, 권2에 행장 3편, 기(記) 1편, 문 3편, 서(序)·명(銘) 각 1편, 권3은 부록으로 가사(家史)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서경·영물(詠物)·술회(述懷) 등의 시가 대부분으로, 각 시마다 시서(詩序)를 붙여 시를 짓게 된 동기와 배경 등을 소개하고 있다.

문의 「보종기별고완약문(保宗基別庫完約文)」은 저자가 사재를 내어 선조 함평군(咸平君)의 구기(舊基)를 보존하고 제례를 봉행하기 위하여 별고(別庫)를 만들고, 이 일을 관장하기 위한 도유사(都有司)를 선정한다는 내용의 완문(完文)이다.

「조약절목(條約節目)」은 별고 운영에 관한 규칙으로 총 20개 항목으로 되어 있다. 「묘제정식완결문(墓祭定式完結文)」은 저자의 증왕고(曾王考) 이하의 묘제완약(墓祭完約)에 관한 문서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