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패는 걸립(乞粒)을 위해 여러 지방을 다니는 과정에서 지방의 향토 민요(民謠)를 수용하기도 하고, 또 반대로 지방의 향토 민요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산천초목」 명칭은 “산천초목 속잎이 난듸 구경가기 얼화 반갑도다”로 시작되는 첫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산천초목 속닙이 난 디 귀경 가기 얼화 반가와라”는 경기 산타령본 「놀량」, 서도 산타령 「놀량」, 남도 잡가 「화초사거리」의 첫머리 사설과 같고 신재효본 「가루지기타령」에도 등장한다. 이로 볼 때, 사설 공유와 사당패 소리의 영향으로 「산천초목」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제주시 성읍, 조천 지역 기녀(妓女)들이 본토의 「산천초목」을 배워 부르면서 민간에도 이 노래가 자연스레 퍼지게 되었다.
보통 창민요를 부를 때는 허벅이나 장구 등으로 장단을 치지만, 이 노래는 악기 반주를 생략하고 시조(時調)를 가창하듯 매우 여유 있게 부른다. 선율선이 복잡하고 장식음이 많아 장단을 맞추지 않고 자유롭게 부르는데, 후렴에 “받읍네다 받읍네다”를 넣어 부르기도 하고 빼기도 한다. 선율은 육지 소리에 비해 현란하지 않지만, 높고 낮은 음역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보다 점잖게 흥청거리는 분위기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자료 2편을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산천초목 속잎이 난듸 구경가기 얼화 반갑도다 꽃은 꺾어 머리에 꽂고 잎은 따서 얼화 입에다 물어 산에 올라 들귀경 가니 천하일색은 얼화 내로구나 날 오라ᄒᆞ네 나를 오라ᄒᆞᄂᆞᆫ다 돌아오는 반ᄃᆞᆯ처럼 ᄃᆞ리주머니 띄와 놓고 만수무강 글자를 새겨 무명장수 닷끈을 달아 정든님 오시거든 얼화 띄와나 봅시다
산천초목 속입이 난디 구경가기가 얼화 반갑도다 꼿은 꺼꺼 머리에 꽂고 잎은 ᄐᆞᆮ아서 얼화 입에 물어 산에 올라 ᄃᆞᆯ구경 가니 천하일색은 얼화 내로구나 날 오라하네 날 오라 하네 산골 처녀가 얼화 날 오라 ᄒᆞ는다 돋아오는 반ᄃᆞᆯ처럼 도리주머닐 주어 놓고 만수무강 글ᄌᆞ를 사겨 수명당사 끈을 ᄃᆞᆯ아 정든 님 오시거든 얼화 채와나봅시다
지금까지 조사된 「산천초목」의 사설은 대동소이하다. 두 자료 역시 사설이 대부분 일치한다. 4행 이후 주머니 묘사 관련 사설이 다르다. 그리고 첫 번째 자료에서는 산천초목을 구경하자고 하는 주체가 등장하지 않지만, 두 번째 자료에서는 산골 처녀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산천초목」은 한반도 전역에서는 전승이 끊어진 산타령계 민요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아울러, 당시 사당패 소리의 사설을 잘 유지하고 있다. 제주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제95호로 지정된 ‘제주민요’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