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초사거리 ()

목차
국악
작품
남도 선소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도 선소리.
내용

조선 고종 때 전라남도 옥과에서 풍류하던 율객 신방초(申芳草)가 그 때까지 소리꾼들이 부르던 「사거리」를 편곡하고 화초대목을 넣어 「화초사거리」를 지었는데, 그 멋들어진 가락에 많은 소리꾼이 나오게 되었다.

특히, 판소리명창 장판개(張判介)·조진영(趙進榮)·김정문(金正文) 등이 잘 불렀다고 한다. 「화초사거리」는「경기놀량」과 마찬가지로 “산천초목이……”로 시작하여 별 의미없는 입타령으로 된 ‘긴염불’ 부문과 후반부인 ‘화초염불’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후반부에 화초들의 이름을 조금 열거하는 대목이 더 첨가되어 있다.

긴염불 부분은 중모리장단으로 노래하며 거의 끝부분에 이르러 중중모리(또는 굿거리)장단으로 화초염불을 부른다. 음악은 통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가락 진행도 남도의 계면조라기보다는 「경기놀량」에 가깝다. 그러나 굿거리 장단부분 이하로는 완전히 남도계면조로 변하며 씩씩한 맛을 낸다.

참고문헌

『문예총감』(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산타령에 관한 연구」(한만영, 『음대학보』5, 서울대학교음악대학,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