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기정 ()

목차
건축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고산현감 최득지가 건립한 누정. 정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고산현감 최득지가 건립한 누정. 정자.
내용

조선 초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인 하연(河演)이 1421년(세종 3)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관내를 순시하던 도중 고산면에 들렀다가 현재의 삼기리로 소풍을 나갔는데, 이 때 그곳의 냇물 · 돌 · 소나무 등이 한데 어 울려 한폭의 그림 같은 경관을 이룬 것을 보고 마음이 쏠려 ‘세가지 기이하다’는 뜻으로 삼기(三奇)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한다.

이에 고산현감이었던 최득지(崔得之)가 정자를 세우고 하연에게서 기문을 받아 ‘삼기정’이라고 이름붙였다고 한다. 1875년(고종 12)최득지의 후손들이 정자의 자리에 유허비를 세웠으며, 기우만(奇宇萬)이 비문을 지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