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연선 ()

목차
교통
지명
북한의 양강도 혜산시 위연역과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역을 연결하는 철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양강도 혜산시 위연역과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역을 연결하는 철도.
내용

백두림철선(白頭林鐵線)은 혜산시 위연과 보천군 대평을 잇는 철도이다. 1963년 이 노선의 중간역인 보천에서 삼지연시 못가까지 새로운 지선이 부설되었다. 최근에는 이 지선이 못가에서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까지 연장되었다. 삼지연선의 개통을 통해 압록강과 두만강 수계에 이르는 지역의 연결이 가능해졌다.

이 철로는 혜산시∼보천군∼삼지연시∼대홍단군∼무산군의 5군을 통과하며, 여기에 위연 · 화전 · 봉수 · 가림 · 보천 · 구사물 · 간산봉 · 농산 · 차가수 · 독산 · 이명수 · 삼지연 · 못가 · 무봉 · 대홍단 · 연사역 등 16개 역이 설치되어 있다.

위연에서 보천까지는 압록강 계곡의 산록을 오르내리다가, 보천에서부터는 압록강의 지류인 이명수를 따라 못가까지 달린다. 백무고원을 지나면서부터는 두만강 지류를 가로질러 연사에 이른다. 백두산 남동사면의 고산지대를 지나는 철도이기 때문에 경사가 매우 가파르다.

당초의 철로건설 목적은 백두산 일대에서 생산되는 원자재나 목재가공품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후에는 삼지연 일대의 김일성 혁명사적지 방문, 1995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제3회 동계 아시안 게임을 위한 아이스링크와 스키장 등의 스포츠 시설과 숙영각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 여행객과 통근자들도 많이 활용하게 되었다. 또한 이곳에는 삼지연선공항이 입지하고 있어 많은 승객이 못가역을 이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1:250,000 대한민국 지세도』(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2)
「북부철길 삼천리길 각역정차(4) : 신의주∼두만강」(cafe.naver.com/ottd/4529: 열람일 2013.7.19)
구굴 어스(earth.google.com)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