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학 ()

목차
불교
개념
불교 수행자가 닦아야 할 계학 · 정학 · 혜학의 세 가지 공부방법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내용 요약

삼학은 불교 수행자가 닦아야 할 계학, 정학, 혜학의 세 가지 공부 방법을 가리킨다. 증상계학, 증상심학, 증상혜학이라고도 한다. 계는 심신을 조정하는 것이며, 그릇됨을 막고 악을 고치는 것으로 방비지악이라고도 한다. 계에 의해 몸과 마음이 조정되면 다음에는 마음을 통일하는 정이 생긴다. 선정(禪定)을 통해 참다운 상을 관찰하여 바른 지혜를 얻는다. 혜는 도리를 명석하게 분별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으로, 넓은 의미에서의 지혜이다. 삼학은 가장 기본적인 불교 교리이며, 일체의 법문은 모두 삼학으로 귀결된다.

목차
정의
불교 수행자가 닦아야 할 계학 · 정학 · 혜학의 세 가지 공부방법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내용

가장 기본적인 불교 교리이며, 일체의 법문(法門)은 모두 삼학으로 귀결된다. 삼학은 계학(戒學) · 정학(定學) · 혜학(慧學)의 세 가지이며, 증상계학(增上戒學) · 증상심학(增上心學) · 증상혜학(增上慧學)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이상(理想)을 추구하는 마음의 구조를 삼분(三分)한 것이며, 의사적(意思的)인 면을 계(戒)로 하고, 감각적인 면을 정(定)으로 하며, 지식적인 면을 혜(慧)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반심리학에서 마음을 지(知) · 정(情) · 의(意)의 세 가지로 뚜렷이 나눌 수 없는 것처럼 계 · 정 · 혜의 구분도 편의적인 것이며, 이 세 가지가 일체가 되어 수도심(修道心)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① 계(戒)는 심신(心身)을 조정하는 것이며, 심신에 대해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그것은 종교적 · 도덕적으로 불선악덕(不善惡德)을 피하는 것뿐 아니라, 경제나 법률, 육체의 건강면에 있어서도 그 이상에 어긋나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을 방비지악(防非止惡)이라 한다. 그릇됨을 막고 악을 고치는 것이 계의 본래 뜻이다.

이 계의 종류에 있어서는 악을 그치는 계를 지악계(止惡戒)라 하며, 지악계는 율의(律儀)라고도 한다. 이 계에는 세속적인 유루계(有漏戒)와 출세간적인 무루계(無漏戒)가 있다. 유루계에는 주1의 계로서 별해탈율의(別解脫律儀)와, 주2의 계로서 정려율의(靜慮律儀)가 있으며, 출세간의 계로서 무루율의(無漏律儀)가 있다.

또, 별해탈율의에는 주3주4가 있다. 재가계에는 우바새[信士]와 우바이[信女]가 항상 지키는 5계와 재일(齋日)에 특별히 지키는 주5가 있으며, 출가계에는 주6의 250계와 주7의 348계, 주8주9의 10계, 주10주11가 있다. 그리고 계에는 주12이라는 뜻도 있다. 지악계를 지지계(止持戒) 혹은 율의계라 하는 데 대해 행선의 계는 작지계(作持戒)라 한다.

② 계에 의해 몸과 마음이 조정되면 다음에는 마음을 통일하는 정(定)이 생긴다. 정을 얻기 위해서는 조신(調身) · 조식(調息) · 조심(調心), 즉 신체와 호흡과 정신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넓은 뜻에서 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 선정(禪定)을 수습하는 이유는 마음을 통일하고 명경지수(明鏡止水)의 마음으로 모든 법의 참다운 상을 관찰하여 바른 지혜를 획득하며, 마음을 공허하게 하여 적절한 판단과 신속 정확한 조처를 취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해서이다. 즉, 정에 의해 혜(慧)가 얻어지고 혜가 활용되는 것이다.

③ 혜는 도리를 명석하게 분별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이다. 불교의 최종적인 목적은 깨우침의 지혜를 얻는 것이며, 혜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의 지혜이다. 보통, 이 지혜는 유분별지(有分別智)와 무분별지(無分別智)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유분별지란 그 지혜가 대상을 의식하고 대상과 대립되는 경우를 가리키며, 무분별지란 그 지혜가 대상을 의식하지 않고 대상과 일체가 되는 경우가 그것이며, 최고의 깨우침의 지혜를 가리킨다.

이 무분별지는 힘도 마음도 쓰지 않고 무애자재로 자연의 법에 맞는 자연법이(自然法爾)의 지혜이며, 이것을 대지(大智)라고 한다. 이 최고의 무분별지를 얻은 불(佛)이나 보살(菩薩)은 그것에 그치지 않고 그 지혜를 가지고 중생구제의 자비활동을 한다. 이 때는 그 지혜가 대상으로서의 중생을 의식하게 되는 유분별지가 되지만, 그러나 이 지혜는 최고의 무분별지를 얻은 뒤에 생기는 것이므로, 이전의 유분별지와 구별하여 유분별후득지(有分別後得智)라고 한다.

참고문헌

『불교학개론』(김동화, 보련각, 1980)
주석
주1

삼계(三界)의 하나. 유정(有情)이 사는 세계로, 지옥ㆍ악귀ㆍ축생ㆍ아수라ㆍ인간ㆍ육욕천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 있는 유정에게는 식욕, 음욕, 수면욕이 있어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삼계(三界)의 하나. 욕계에서 벗어난 깨끗한 물질의 세계를 이른다. 선정(禪定)을 닦는 사람이 가는 곳으로, 욕계와 무색계의 중간 세계이다.    우리말샘

주3

삼계(三戒)의 하나. 재가 불자들이 지켜야 할 금계(禁戒)를 이른다. 소승의 오계(五戒)와 팔계(八戒), 대승의 십선계(十善戒)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4

삼계(三戒)의 하나. 출가한 사람이 지켜야 하는 구족계(具足戒)이다.    우리말샘

주5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와 여자가 육재일에 지켜야 하는 여덟 가지 계행(戒行). 중생을 죽이지 말 것, 훔치지 말 것, 음행(淫行)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술 먹지 말 것, 꽃다발을 쓰거나 몸에 향을 바르고 구슬로 된 장식물을 하지 말며 노래하고 춤추지 말 것, 높고 넓으며 잘 꾸민 평상에 앉지 말 것, 때가 아니면 먹지 말 것이다.    우리말샘

주6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남자 승려.    우리말샘

주7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여자 승려.    우리말샘

주8

십계(十戒)를 받고 구족계(具足戒)를 받기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어린 남자 승려.    우리말샘

주9

십계(十戒)를 받은 18세 미만의 어린 여자 승려.    우리말샘

주10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우리말샘

주11

식차마나가 지켜야 할 여섯 가지 계(戒). 음행(淫行)하지 않음, 훔치지 않음, 살생하지 않음, 거짓말하지 않음, 술 마시지 않음, 끼니때가 아니면 먹지 않음의 여섯 가지이다.    우리말샘

주12

소극적으로 악한 일을 하지 아니하는 데 그치지 아니하고, 적극적으로 행하는 선(善).    우리말샘

집필자
오형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