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운도 ()

목차
교통
제도
조선시대 강원도 양양의 상운역(祥雲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강원도 양양의 상운역(祥雲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내용

중심역은 뒤에 양양 연창역(連倉驛)으로 이속하였다. 종9품직의 역승(驛丞)이 있었으나 뒤에 종6품의 찰방(察訪)으로 승격되었다. 관할 범위는 양양(襄陽)-간성(杆城)-고성(高城)-통천(通川)-흡곡(歙谷)에 이어지는 역로(驛路)이다.

이에 속하는 역은 양양의 연창(連倉)·오색(五色)·강선(降仙)·인구(麟丘), 간서의 죽포(竹泡)·청간(淸澗)·운근(雲根)·명파(明破 또는 明波), 고성의 대강(大康)·고잠(高岑)·양진(養珍), 통천의 조진(朝珍)·등로(登路 또는 藤路)·거풍(巨豊), 흡곡의 정덕(貞德) 등 15개 역이다.

뒤에 미시파령(彌時波嶺) 길을 개착함으로써 양양 오색역을 원암역(元巖驛 : 지금의 간성)에 이속하였다. 상운도 소관역들은 모두 소로(小路 또는 小驛)에 속하는 역들이었다. 이 역도는 1894년 갑오경장 때까지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동국여지승람』
『경국대전』
『대전회통』
『대동지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