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참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전근대 왕조 사회에서 조정의 신하들이 매일 아침 국왕을 뵙고 문안드리던 약식(略式)의 조회(朝會).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상참(常參)은 조정의 문무백관이 국왕을 뵙고 문안드리는 조회의 일종으로, 일부 신하들이 참석한 가운데 매일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상참은 국왕이 일상적 업무를 볼 때 적절한 예의와 법도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전근대 왕조 사회에서 조정의 신하들이 매일 아침 국왕을 뵙고 문안드리던 약식(略式)의 조회(朝會).
변천사항

조회(朝會)는 중국 고대로부터 시행된 이래 황제를 중심으로 집행되는 의례의 하나로 정착되어 왔다. 1319년에 원나라에서 간행된 『문헌통고(文獻通考)』에서는 주1 · 동지(冬至) 등에 행하는 대조회(大朝會),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시행하는 조회, 일정한 시차를 두고 실시하는 조참(朝參), 매일 행하는 상참(常參) 등이 정리되어 있다. 명나라에서도 매일 상참을 행하고, 특별한 날에는 규모가 큰 조회를 시행하였다.

우리나라는 신라 때부터 조회가 행해졌다고 하지만 그 구체적인 시행 양상은 잘 파악되지 않는다. 고려 건국 이후에는 주2, 동지(冬至), 주3 등에 조회를 하였고, 성종 대 무렵부터는 주4, 주5 등의 조회가 행해졌다. 훗날 조선 건국 이후에 권근(權近)은 고려 초기에 매일 상참을 시행하다가, 중기 이래로 차츰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내용으로 상소한 적이 있다. 그러나 고려 전기에 실제로 매일 상참이 행해졌는지는 알 수 없다.

조선 초기에도 주로 주10 조회가 행해졌다. 그러나 조회 운영이 부실하다는 비판과 함께 국왕이 더욱 부지런히 정사에 임해야 한다는 요청이 이어졌다. 1429년(세종 11) 무렵 매일 조회하는 상참이 시행되었다. 즉, 정삭 · 동지 · 주6 등에 주9를 거행하고 며칠마다 한 번씩은 조참(朝參)을 행하되, 그 나머지 날에는 상참 조회를 하였다. 상참은 본래 국왕의 업무 수행이 우선이었으므로, 최소한의 의례를 덧붙여서 시행하였다.

성종 때는 『 경국대전(經國大典)』,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등이 간행되면서 조회의 체제가 완비되었다. 일단 조회는 대조(大朝)와 상조(常朝)의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우선 대조는 매년 정월 초하루와 동지, 국왕과 왕비의 탄일, 매월 초하루와 보름 등에 근정전에서 행해졌다. 이에 비해 상조는 일상적으로 행해졌으며, 조참과 상참으로 구분되었다. 조참은 아일 조회의 전통을 계승하여 매달 5일, 11일, 21일, 25일에 시행되었고, 상참은 매일 아침에 행해지는 것으로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를 비롯한 주요 관서의 정해진 인원만 참석하였다.

운영사항

상참은 번거로운 조회 의식을 생략하는 편으로 관련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졌으며 약식으로 진행되었다. 6품 이상 중에서 일부 지정된 관료만 참석하였고, 의장(儀狀), 악대(樂隊), 시위 병력 등도 수반하지 않았다. 상참 참여 관리들은 편전(便殿) 마당에서 주7하고 편전 안으로 들어와서 주8하였다. 매일 실시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제 매일 시행되지는 않았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논문

강제훈, 「조선 초기의 朝會 의식」(『조선시대사학보』 28, 조선시대사학회, 2004)
강제훈, 「朝鮮 世祖代의 朝會와 王權) (『사총』 61,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05)
강제훈, 「조선 성종대 朝會儀式과 朝會 운영」(『한국사학보』 27, 고려사학회, 2007)
이근호, 「朝鮮時代 朝參儀禮 設行의 推移와 政治的 意義」(『역사와 담론』 43, 호서사학회, 2006)
주석
주1

정월 초하루.

주2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정월 초하룻날이다. 우리말샘

주3

국왕의 탄일.

주4

한 달에 3번 행하는 조회 의례.

주5

한 달에 6번 행하는 정례적인 조회.

주6

음력 초하루와 보름.

주7

예식을 행하는 일.

주8

신하들이 국왕에게 정무를 아뢰고 논의하는 일.

주9

동지, 정조(正朝), 즉위, 탄일 따위의 경축일에 신하들이 조정에 나아가 임금에게 하례하던 일. 또는 그런 의식. 우리말샘

주10

임금과 여러 신하가 모여 조회를 하고 정사를 보던 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