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 (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해안 절벽에 형성되어 있는 조개종류의 화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해안 절벽에 형성되어 있는 조개종류의 화석.
내용

면적 약 74,328㎡.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서귀포시 서쪽 해안에 있는 절벽과 여기서 약간 떨어진 바윗돌에 들어 있는 연체동물(軟體動物)의 화석으로서, 이곳에는 바다로 돌출한 절벽이 약 60m의 높이를 보여주는데, 여기에 50m의 두께를 가진 지층이 노출되어 있고, 이 지층의 아래(바다 속)와 위(산쪽)에는 현무암으로 한정되어 있다. 아래의 현무암이 흘러 퍼진 뒤에 얕은 바다로 덮이고, 이 물속에 진흙·모래·화산회 등이 50m 정도 쌓인 뒤 다시 현무암이 흘러서 서귀포층을 덮었다.

퇴적물이 쌓이던 바다에는 조개 종류를 위시하여 많은 바다동물이 살았는데, 이들의 유해가 이 지층 속에 남아서 화석으로 변하였다. 이 지층이 서귀포층이라고 명명된 지층이다.

서귀포층에서 발견되는 화석은 다음과 같이 많다. 즉, 부족류(斧足類) 41종, 복족류 14종, 굴족류(掘足類) 4종, 완족류(腕足類) 7종 등의 연체동물화석 외 극피동물(棘皮動物)·산호·어류의 뼈·상어의 이[齒]도 발견된다. 이런 큰 화석 외 미고생물로서 유공충(有孔蟲)의 화석도 보고되어 있다.

이들 화석은 대부분 현생 생물들과 같은 종들이나 현재 부근의 바다에서는 볼 수 없는 것도 적지 않다. 그만큼 서귀포층이 퇴적되던 당시는 현재와 그 환경이 달랐음을 암시하며, 현재보다 약간 더 따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서귀포층이 퇴적된 시대는 200∼300만년 전인 플라이오세였을 것으로 보이나, 아래 위의 현무암의 연령을 측정하면 더 정밀한 연대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1968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천연기념물백서』(문화재관리국, 1998)
「서귀포층의 패류화석」(김봉균, 『지질학회지』10-2, 1974)
『日本東京大紀要』XLⅣ(Yokoyama, M., 192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