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이하복 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서천 이하복 고택 전경
서천 이하복 고택 전경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사랑채 · 아랫채 · 광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서천 이하복 고택(舒川 李夏馥 古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84년 12월 24일 지정)
소재지
충남 서천군 기산면 신막로57번길 32-3 (신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사랑채 · 아랫채 · 광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19세기 후반에 3칸 안채를 건립한 후 20세기 초에 사랑채 · 아랫채 · 광채를 지으면서 안채의 좌우측을 증축한 것이다.

이 가옥은 멀리 진산(鎭山)에서 좌우로 뻗어 내린 산줄기가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를 이룬 명형국지(名形局地)에 자리 잡고서 국(局)이 열리는 수구(水口)를 향하여 남서향을 하고 있다.

이 집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앞쪽에 대문간이 있는 一자형의 사랑채와 뒤쪽에 ⊓자형을 이룬 안채와 광채가 튼 ㅁ자형을 취하고 있다. 사랑채의 우측에는 一자형의 아래채가 2칸 정도 떨어져 자리 잡고 있다.

안채는 원래 3칸으로 좌측에서부터 부엌 1칸, 안방 1칸, 윗방 1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후대에 부엌을 좌측으로 1칸 늘리고 윗방의 우측으로 대청 1칸, 아랫방 1칸을 증설하였으며, 아랫방 앞으로 ‘헛청(부엌 · 헛간)’ 1칸을 덧달아 내었다.

안방과 윗방 앞에는 반 칸 폭의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으며, 두 방 사이에는 네짝미서기문을 달아 방을 구분하였다. 대청은 윗방과 아랫방에서 드나들 수 있는 개구부를 내지 않고 전면에만 유일하게 출입문인 쌍여닫이 판장문을 달고 있다.

이러한 간살잡이는 이 지방에서 가끔 보이는 형식으로 마루방이 일반대청으로서의 기능보다 수납공간으로의 성격이 짙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랑채는 좌측에서부터 대문간 1칸, 부엌 1칸, 사랑방 2칸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랑방의 전면과 우측면에는 반 칸 폭의 툇마루를 설치하였으며, 방 사이에는 네짝미서기문을 달아 양분하였다. 툇마루의 좌측단에는 반 칸 크기의 토광이 마련되어 있다. 아래채는 며느리가 거처하는 곳으로 좌측에서부터 부엌 2칸, 안방 1칸, 윗방 1칸, 광 2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장대석 외벌대 토단 위에 자연석 덤벙초석을 놓고 모두 방주를 세웠으며, 주상(柱上)의 도리는 모를 굴린 납도리를 사용한 민도리집이다.

상부 가구는 전면의 지붕을 후면보다 길게 하기 위한 2고주 4량가(二高柱四樑架 : 半五樑架)이며, 지붕은 우진각 초가지붕이다. 사랑채는 1고주 5량가로 안채의 구조기법과 유사하다. 다만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으로 안채보다 축대를 높게 한 것이 다를 뿐이다.

이 집은 사랑채의 우측에 아래채를 별설하여 며느리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할애해주고 있는데, 이는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의 내외관습을 지키려는 것으로 남녀유별이라는 유교적 덕목을 보다 더 잘 지키기 위함일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주거민속지』(김광언, 민음사, 1988)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서천 이하복 고택 기록화 사업 보고서: 중요민속문화재 제197호』(충청남도·서천군, 2017)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