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선원사 철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선원사에 있는 철조여래좌상.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선원사에 있는 철조여래좌상.
개설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선원사 약사전(藥師殿)에 있는 철조여래좌상이다. 118㎝의 크기로, 광배와 대좌는 없어지고 불상만 남아 있다. 양 손도 최근에 만들어 끼운 것이다. 선원사 철조여래좌상과 관련되는 명문이나 문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조성 배경을 알 수 없다.

내용

통견(通肩 : 옷이 양쪽 어깨를 덮고 있는 것) 형식으로 법의(法衣 : 불상의 옷)를 착용하고 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있는 불상이다. 장방형의 머리와 약간 긴 듯한 목, 네모난 상체, 넓게 퍼진 듯한 삼각형의 하체로 이루어져 있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형식화된 듯하지만, 신체 곳곳에서 입체감을 나타내려한 노력이 보인다.

철조여래좌상은 마치 가발을 덮어 쓴 듯한 나발(螺髮 : 소라 형태의 머리카락) 형식의 머리카락과 낮고 둥근 육계(肉髻 : 정수리 위에 솟아나온 부분), 육계 윗부분의 정상 계주(髻珠 : 원래는 인도 귀족 청년의 머리카락을 묶던 보배 장식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형태가 바뀌었음)와 머리와 육계가 닿아 있는 곳의 중앙 계주를 지니고 있다.

불상은 이마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미간(眉間)에 있어야하는 백호(白毫 : 원래 흰털을 뜻하지만, 후대에 보석 등으로 대체됨)가 표현되어 있지 않다. 마치 두 개의 선으로 그린 듯한 눈썹과 부풀어 오른 듯한 눈두덩, 가늘게 뜬 눈, 오뚝한 코, 약간 팽창된 양 볼, 적당한 크기의 입과 귀를 지니고 있다. 이마와 양 볼, 턱 부분이 상대적으로 나와 있어 입체감을 더 해 준다. 턱 아래 목으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삼도(三道 : 세 개의 선)가 표현되어 있는데, 굴곡진 모습이 세 개의 링을 쌓아 놓은 듯하다.

불상의 가슴 부위는 밋밋하여 입체감이라곤 전혀 느낄 수 없으며, 가부좌(跏趺坐 : 양반 자세로 앉은 모습)를 하고 있는 오른발은 지나칠 정도로 크게 표현되었다. 한편 V자 형식으로 옷깃을 여민 법의(法衣 : 불상의 옷)는 전례가 없는 특이한 모습으로서 옷깃 가장자리를 한복과 같이 다른 천으로 덧댄 모습을 하고 있다. 양쪽 어깨와 양쪽 무릎 부분에서 법의 위로 전해지는 불상의 질감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경직된 감이 없지 않다. 또한 양팔 위와 양 다리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사실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법의의 주름을 지나칠 정도로 과장되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불상은 가발 같은 두발 형태와 부은 듯한 얼굴, 경직된 모습 등에서 고려시대 전기의 특징을 볼 수 있다.

특징

통일신라시대 9세기 이후에 불상의 재료로 사용되던 철로 제작되었다. 머리카락 형태와 얼굴의 모습이 고려시대 전기에 보이는 일반적인 철조여래좌상과 유사하지만, V자 형식으로 법의를 입은 모습은 다른 불상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 전기에 충청도 지방에서 주로 조성되던 1m 전후 크기의 철조여래좌상과 비슷하다. 이 불상이 언제부터 남원 선원사에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원래 이곳에서 조성되었다면 고려시대 전기 철불 조성이 지역적으로 상당히 확대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예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전라북도·제주도(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3)
『국보』2 금동불·마애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배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