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동 산성 ( )

목차
관련 정보
대전 성북동산성
대전 성북동산성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유성구 산장산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테뫼식 석축 성곽. 산성.
이칭
이칭
대전성북동산성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성북동산성(城北洞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기념물(1990년 05월 28일 지정)
소재지
대전 유성구 성북동 산20-5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산장산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테뫼식 석축 성곽. 산성.
내용

둘레 약 450m. 1990년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원내동에서 성북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남쪽 표고 244.9m의 산 정상을 둘러싼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둘레는 450m 정도된다.

산성의 동북 모서리 부근의 북문지와 서남 모서리 인근에 남문지가 남아있고, 동남 모서리에는 타원형의 고대지가 있어 장대지로 추정된다. 남벽과 서벽 일부 지점에는 5~9단의 석축 성벽이 노출되어 있고, 동쪽 성벽과 남쪽 성벽은 자연지세를 이용하면서 삭토의 방법으로 축조하였는데 그 형태조차 알아 볼 수 없는 정도이다.

성 안에는 건물터로 보이는 대지와 우물터가 남아 있으며, 백제시대 토기편들을 용이하게 수습할 수 있다. 성 안에는 무연고 묘지가 조성되어 있어 성의 파괴가 심하다.

이 산성은 산장산성(産長山城)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두량이성(豆良伊城)에 비정되기도 하는데, 대전-연산 방면의 통로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대전시사』 4(대전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92)
「대전부근고대성지고」(성주탁, 『백제연구』 5,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74)
「두량이성에 대하여」(지헌영, 『백제연구』 3,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7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