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성읍마을 대장간집 ( 마을 대장집)

목차
관련 정보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조선후기 성읍마을 대장간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조선후기 성읍마을 대장간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집의 안채는 옛 정의(旌義: 지금의 성읍) 고을의 대장간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한다. 안채는 19세기 말엽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나, 예전 대장간임을 감안할 때 후대에 평면의 간(間)살이가 다소 개조되었으리라 추정된다.

지금의 ‘모커리(안거리와 밖거리 사이에 가로놓인 집채)’에는 부엌간(정지간)이 시설되어 있는데, 이 또한 20세기 중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이 가옥은 1979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제주 성읍마을 고평오 고택과 이웃하고 있다. 고평오 고택의 대문간(이문간) 맞은 쪽 길 건너, 고을 관원들만이 이용하였다는 ‘남문통’이란 우물이 있었던 바로 앞에 남향하고 있다.

이 집은 대문이 없지만 예전 ‘정낭(집 입구에 긴 막대기 두세 개를 정주석 또는 정주목에 걸쳐 주인의 부재를 표시하는 대문)’의 정주석이 집 입구 양쪽에 서 있다. 모커리는 집 입구의 바로 좌측에 있으며, 안채는 모커리의 우측에 마당을 앞에 두고 있어 전체적인 배치형태는 ○형을 취하고 있다.

변소(통시·뒷간·돝통)는 돼지우리와 함께 있는 재래식으로 안채의 좌측단 바로 옆에 있으며, 장독대는 안채의 앞쪽 우측에 있다.

안채는 중앙에 대청마루(상방)가 있고 대청마루의 좌측에 안방(큰구들)과 고방(고팡)이 있다. 우측에는 부엌과 작은 방(작은구들)이 각기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안방과 작은방에는 ‘굴묵(방의 난방을 위하여 불을 때는 곳)’이 있으며, 대청마루와 안방의 전면에는 반 칸 폭의 툇마루(난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집은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풍채(비바람이 칠 때 내려서 비바람을 막고, 볕이 날 때 올려서 땡볕이 방에 드는 것을 막는 시설물)’를 전통적인 것으로 하지 않고 필요할 때 쉽게 말고 펼 수 있는 붉은 비닐천으로 대신하고 있다. 이것은 전통 풍채의 시설과 사용이 번거롭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집 구조는 모르타르로 마감한 기단을 제외한 모든 구조들이 제주도의 간소한 전통 구조기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안채의 경우, 대장간으로 쓰이던 당시에는 대청마루와 작은방 및 부엌간이 통칸으로 가운데 기둥뿌리를 묻는 ‘생깃기둥(상기둥·외기둥·백이기둥)’을 세우고 대들보를 얹어 서까래를 걸었던 원초적인 가옥형태였으리라고 추정하여본다.

이 집은 좁은 대지에 단출하게 지어진 건물로 예전 마을의 중심가에 위치한 대장간이었다는 점이 주목되고 있지만, 간살이 대부분 바뀐 평범한 주택으로 개조된 것이 아쉽게 생각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주거민속지』(김광언, 민음사, 1988)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편(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