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성읍마을 한봉일 고택 ( 마을 )

목차
관련 정보
제주 성읍마을 한봉일 고택 전경
제주 성읍마을 한봉일 고택 전경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조선후기 바깥채 · 안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조선후기 바깥채 · 안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19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성읍 마을의 중심가에서 동쪽으로 조금 들어선 곳에 북향(北向)하고 있다.

대문으로 들어서는 곳의 양쪽에는 거대한 팽나무 두 그루가 수문장처럼 우뚝 서 있다. 집 주위에는 울타리를 따라 심겨진 팽나무·동백나무 등의 수목들이 집의 경관을 더해주고 있다.

이 집의 마당에 들어서면 멀리 북쪽에 성읍 마을의 진산(鎭山)인 영주산(瀛州山)이 마을을 수호하듯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는 것이 민가들의 지붕 사이로 내다보인다. 전면 담의 좌측 모서리에 도로 면보다 조금 낮게 자리 잡은 대문간(이문간)을 들어서면 마당의 좌측에 바깥채(밖거리)가 있으며, 우측에 안채(안거리)가 배치되어 있다.

변소는 돼지우리와 함께 있는 재래식으로 안채의 전좌측(前左側)에 있으며, 장독대는 안채의 뒤쪽 조금 떨어진 곳에 있다. 대문간은 3칸으로 중앙에 문을 달지 않은 대문이 있고, 그 좌우에 헛간과 외양간(쉐막)이 있다.

안채는 한라산 산남(山南) 민가의 전형적인 가옥형태를 취하고 있다. 안채의 중앙에 대청마루(상방)가 있고, 대청마루의 좌측에 부엌(정지)과 작은방(작은구들)이, 우측에 안방(큰구들)과 고방(고팡)이 각기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안방과 작은방에는 ‘굴묵(방의 난방을 위하여 불을 때는 곳)’을 두었는데, 이 굴묵으로 통하는 문을 내지 않고 툇마루(난간)쪽에서 출입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한라산 산남 가옥구조의 색다른 일면으로 보여 진다.

부엌 앞에는 ‘물구덕(물동이를 넣는 바구니)’을 얹어두는 ‘물팡’이 있으며, 대청마루와 안방의 전면에는 반 칸 폭의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바깥채는 3칸으로 여느 제주도 민가와는 달리 대청마루를 앞뒤가 긴 1칸으로 꾸미지 않고 대청마루의 뒤쪽에 작은방을 배설한 점이 특이하다.

이 집은 제주도의 간소한 민가 구조기법을 따르면서 대청마루의 상부 가구에 원초적인 반원형의 판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도록 한 것이 이채롭다. 또 한라산 산남 민가의 특성도 곁들인 가옥으로 건립 당시의 모습을 거의 잃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주거민속지』(김광언, 민음사, 1988)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편(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일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