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도 ()

목차
교통
제도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의 수성역(輸城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의 수성역(輸城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내용

중심역은 찰방이 소재하였다. 수성도의 관할 범위는 경성을 기점으로 부령(富寧)-회령(會寧)-종성(鐘城)-온성(穩城)-경원(慶源)-경흥(慶興)에 이어지는 역로(驛路)와 경성∼경흥간을 잇는 역로이다.

이에 속하는 역은 경성의 오촌(吾村)·주촌(朱村), 부령의 석보(石堡)·회유(懷綏), 회령의 영안(寧安)·풍산(豐山)·역산(櫟山), 종성의 종경(鍾慶)·무안(撫安)·녹야(鹿野), 온성의 무령(撫寧)·덕명(德明), 덕원의 마유(馬乳)·연기(燕基)·아산(阿山), 경흥의 강양(江陽)·웅무(雄撫, 또는 雍撫), 요참(要站) 등 18개 역이다.

성종대 이후 경성의 무산(茂山)·영강(永康), 무산의 풍산(또는 新豐山)·마전(麻田), 성천(城川) 등의 역이 증설되었다. 수성·오촌·주촌·석보·회유·풍산·역산·무안·녹야·덕명역 등은 중로(中路 또는 中驛)에 속하는 역들이고, 그 밖의 역들은 소로(小路 또는 小驛)에 속하는 역들이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까지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경국대전』
『대전회통』
『대동지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