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활자본. 1872년(고종 9) 아들 집호(集顥)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교영(李喬榮)의 서문과 권말에 박용수(朴龍壽)·오갑선(吳甲善)·집호 등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상에 시 75수, 사(詞) 3편, 기(記) 3편, 설(說) 1편, 기문(記聞) 2편, 발(跋) 1편, 권중·하에 서(序) 1편과 부록으로 서(序) 1편, 설 2편, 시 94수, 행장 1편, 만장(輓章) 50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소학음(小學吟)」·「대학음(大學吟)」·「중용음(中庸吟)」·「관역음(觀易吟)」·「춘추음(春秋吟)」 등 도학적 심상을 읊은 것과 12성(星)과 귀신 등 특이한 소재를 택한 것이 많다.
설의 「양잠설(養蠶說)」은 양잠의 실패담을 들어가며 누에치는 일의 중요성을 역설한 글이며, 기문에는 임진왜란 때 일화를 소개한 내용이 있다.